위로가기 버튼

단일화 셈법

등록일 2022-02-10 19:32 게재일 2022-02-11 19면
스크랩버튼
김진호 서울취재본부장
김진호 서울취재본부장

야권 단일화 논의가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단일화에 선을 긋던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단일화 가능성을 내비치며 밀당에 나선 분위기다.

단일화를 둘러싼 양측의 셈법은 어떤 것일까. 먼저 ‘단일화’ 화두를 띄운 윤 후보 측은 여론조사에서 크게 앞서고 있는 이점을 살려 안 후보를 압박하는 모양새다. 반면, 안 후보는 단일화와 거리를 두며 자신의 지지율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윤석열 후보의 단일화에 대한 입장은 선명하다. 언제든 담판을 짓겠다는 태도다. 그가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정치인들끼리 서로 믿는다면 단 10분 만에도 되는 것”이라고 말한 것도 그런 의지를 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지난달까지 “공개적으로 할 말 없다”며 선을 긋던 태도와는 확연히 달라진 것이다.

안 후보도 예전에 비해 긍정적인 발언으로 응수하고 있다. 안 후보는 윤 후보의 발언과 관련, 윤 후보의 일방적인 생각이라고 일축했지만 ‘윤 후보의 연락이 오면 만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그때 생각해보겠다”고 여지를 남겼다. 과거 “단일화는 없다”는 입장에서 많이 진전된 입장으로 해석된다.

어쨌든 20대 대선을 20여 일 앞둔 시점에서도 단일화 논의가 구체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것은 양측의 단일화 셈범이 다르기 때문이다. 윤 후보의 경우 다자대결을 전제로 한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기록하고 있어 단일화가 매우 시급하다고 판단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단일화 이슈를 선점하면서 야권지지층을 결집시키고, 동시에 안철수 후보를 소수정당 후보로 부각시켜 지지율 하락을 유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반면 안 후보는 단일화 논의에 자신이 적극 나서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정치의 폐해를 비판하며 출마한 자신이 국민의힘과 단일화를 할 경우 출마명분이 흔들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선일이 다가올수록 확실한 대선승리와 대선 후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서라도 국민의힘 윤 후보와 안 후보와의 단일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박관용 김형오 박희태 강창희 정의화 전 국회의장 등 전직 의원 191명이 10일 오전 국민의힘 윤석열·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를 향해 “후보 단일화는 승리의 길이고 통합의 길이다. 정권 교체를 간절히 바라는 국민들의 절체절명의 명령”이라며 “각자의 길을 멈추고 국민의 소리에 귀 기울여야한다”고 단일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윤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여유있게 이길 수 있는 필승카드로 단일화를 추진하는 것이 당연해 보인다. 안 후보로서도 10%에 채 미치지 않는 지지율로 대선끝까지 완주하는 것보다 야권 통합의 대의명분을 지키면서 담판을 통해 총리직이나 야권 공천지분 등을 확보한다면 새로운 정치판을 짜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항간에는 이미 야권 단일화 성사여부와 시기를 두고 내기가 벌어질 정도다. 단일화 셈법의 결론이 어떻게 마무리될지 무척 궁금해지는 요즘이다.

김진호의 是是非非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