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어떻게 살 것인가

등록일 2021-12-19 20:04 게재일 2021-12-20 18면
스크랩버튼
조현태​​​​​​​수필가
조현태​​​​​​​수필가

조선조 시대에 병조판서와 대제학까지 역임한 ‘윤회’라는 인물이 있었다. 그는 출중한 인격자였다.

그가 젊은 시절에 시골길을 가다가 날이 저물어 여관을 찾게 되었다. 그러나 행색이 말이 아닌 까닭에 여관주인이 투숙을 허락하지 않았다. 할 수 없이 그는 뜰아래 앉아있었다. 그때 주인집 아이가 까만 구슬을 하나 들고 나왔다. 구슬을 손바닥에 굴리며 놀다가 땅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구슬은 데구루루 굴러서 장독대 사이로 들어갔다. 아이는 구슬을 찾느라 요리조리 살피다가 금세 포기하고 들어가 버렸다.

그런데 그 순간 커다란 거위 한 마리가 나타나 그 구슬을 꿀꺽 삼켰다. 잠시 후 여관에서 야단법석이 났다. 엄청난 값어치가 나가는 흑진주를 도둑맞았다는 것이다. 앞뒤 상황을 간추려보던 여관 주인 내외는 구슬을 훔칠만한 사람이 새로 나타난 윤회 밖에 없다고 의심했다.

날이 새면 관가에 고발하겠다며 도망가지 못하게 그를 기둥에 묶어놓았다. 갑자기 도둑으로 취급받게 된 윤회는 난감할 수밖에 없었다. 까닭 없이 봉변을 당하기는 억울하지만 워낙 명확한 진실을 알고 있으니 그다지 염려할 바는 아니었다. 그렇다고 당장 어떻게 할 방도가 없으니 그저 때를 기다려야만 했다. 그래서 윤회는 주인에게 자기 곁에 거위도 함께 붙들어 매 달라고 청했다. 주인이 생각하니 엉뚱하고 괴이하지만 귀중한 보석을 찾기 위해 윤회의 요구대로 거위를 붙잡아 따로 묶어 두었다.

이튿날 아침, 자신을 끌고 가려는 주인을 보고 윤회는 우선 ‘거위 똥부터 살펴보라’고 말했다. 이상하게 여긴 여관 주인이 우습다는 투로 나무랐다. 없어진 흑진주와 거위 똥이라니 도대체 두 가지 물체가 연결이 되지 않았다. 어찌 보면 코미디의 한 부분 같기도 하지만 일단은 윤회의 말대로 했다. 아니나 다를까, 거위 똥을 자세히 살펴보니 그 속에 흑진주가 있는 것이 아닌가. 윤회는 그때서야 어제 본 자초지종을 말해주었다. 그러자 여관 주인은 부끄러워하며 사과하고 나서 말했다.

“그런 줄 알았으면 어제 저녁에 말하지 왜 지금에야 그 이야기를 하느냐?” 그러자 윤회는 “만약 그 때 말했다면 당신이 거위를 죽일 수도 있을 것 같았다. 내 조금만 참으면 거위를 살릴 수 있기에 일시 수모를 참았노라.”

덕을 세우는 일은 참으로 중요하다. 진실이란 어떻게 감추든지 언제 밝히든지 사실 그대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윤회에게 ‘진실은 흑진주를 훔치지 않았고, 때가 되면 거위에게서 찾을 수 있음’이다. 그렇기 때문에 거위가 자신의 입장을 증명해 줄 상황이 어느 시점이든 달라질 것은 없다. 다만 거위를 다치지 않게 진실이 밝혀진다면 자신의 덕이 올바로 세워진다는 것이다.

근간에 스스로를 덕망 있는 사람이라고 외치며 백성에게 인정받으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많다. 필자도 그런 사람을 대단히 훌륭한 사람이라 여기지만 출중한 인격자는 아닌 듯하다. 왜냐하면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거위를 잡게 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기둥에 묶일 줄도 알고 관가에 끌려가서 곤장을 맞지 않아도 될 것은 알지만 거위 배를 가르지 않으면서 도둑 누명을 벗지는 못하고 있다.

덕을 제대로 세워서 윤회를 능가하는 인품이 지금 시대에도 있기를 빌어본다.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