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을 맞이하는 태도가 자연과 인간이 너무 대조적이다. 늘 그랬듯이 2021년의 모든 것을 틀어낸 자연은 언제나 겸손, 차분하다. 하지만 미련, 아집, 집착, 욕심, 이기로 가득한 사람 사회는 해가 갈수록 혼란과 혼돈의 정도가 최절정을 경신한다.
특히 2021년 연말은 코로나도 코로나지만 자기만 옳다고 떠드는 대선(大選) 사공들로 나라가 산으로 가고 있다. 지금까지 모든 이가 그랬다. 자기만이 정답이고, 자기가 대선에 이기면 좋은 나라가 될 것이라고. 그들 말처럼 되었다면, 나라 꼴이 암흑천지가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곧 거리마다 불법 가로펼침막들이 걸릴 것이다. 국민은 대선 소음(騷音)에 엄청난 피로감과 분노를 느낄 것이다. 이런 국민의 대선 감정과 상관없이 대선 후보를 낸 정당들은 지금까지 모든 선거가 그랬던 것처럼 국민을 자신들의 정당이 이기기 위한 선거 도구로 이용할 것이다.
국민이 주인인 나라는 정말 교과서에만 나오는 나라다. 단언컨대 이 나라에서는 이 말이 단 한 번도 실현된 적이 없다. 누군가가 필자에게 그럼 이 나라의 주인이 누구냐고 물으면 필자는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말할 것이다. “이 나라의 주인은 선거다.”
선거 이야기를 하고자 한 것은 아니었는데, 이야기가 이 나라 선거판처럼 산으로 갔다. 나라가 산으로 갈 때마다 나라를 바로 세운 것은 교육이었다고 말하고 싶지만, 도저히 양심상 삼척동자도 다 아는 그런 거짓말은 못 하겠다. 교육이 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는 말이 우리 교육 현장에서도 통하면 얼마나 좋을까! 이 말을 믿고 오로지 학생과 나라를 생각하며 모든 것을 헌신하는 교사들이 정말 많지만 안타깝게도 이 나라 교육은 기울어져 가는 나라를 더 기울게 만들고 있다. 나라와 교육의 공도동망이 현실이 될 날도 이제 멀지 않았다.
그래도 교육계에서는 이런 비극적인 결말을 막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의 노력을 보여주기 위해 때가 되면 ‘개정 교육과정’이라는 것을 발표한다. 역시 이번에도 마찬가지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정과 대선(大選)과의 공통점은 밑도 끝도 없는 화려한 말잔치다. 물론 던져놓고 보는 그 말잔치에는 책임감 따위는 없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실행이 되든 안 되든 교육과정은 시대 현실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장 눈에 띄는 말은 “생태전환교육”이다. 다음은 교육부 보도자료다.
“(주요 추진 과제 中에서) 인간과 환경의 공존,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생태전환교육, 기후환경변화 등에 대응하는 생태환경 교육을 교육목표와 전(全) 교과의 내용 요소에 반영한다.”
생태환경 교육!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지금 시대에 가장 필요한 교육이다. 이 교육의 성공을 위해 한 가지 제언한다. 지금까지 교육이 망한 것은 모든 교과가 지식 교육에 치우쳤기 때문이다. 환경 교육 또한 환경 지식 교육으로 가면 분명 망한다. 지구가 살기 위해서는 환경 지식 교육이 아닌 환경 지혜 교육으로 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