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마다 가로펼침막이 전시회를 이루었다. 대부분이 수험생을 응원하는 내용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상당수가 자신의 이름을 알리기 위해 정치인들이 불법으로 내건 것들이다.
12년 무상교육을 마무리 짓는 시험! 오로지 이날을 위해 가장 빛나야 할 청소년 시기를 너무도 아프게 보낸 학생들! 과연 우리 사회는 그들에게 어떤 보상을 해 줄 수 있을까? 보상을 떠나서 올해 수능부터는 제발 불수능, 물수능과 같은 말이 나오지 않기를 간절히 바랄 뿐이다.
지난주부터 필자의 심장에 꽂힌 뉴스가 있다. 그것은 대학 순위 발표! 물론 해당 기관은 좋은 의도로 발표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뉴스를 받아들이는 사람의 마음은 그렇지 않았다. 수험생 자녀를 둔 지인은 대학 서열을 조장하는 짓을 왜 하느냐고 고래고래 고함을 질렀다.
대학 순위는 국내 순위, 아시아 순위, 세계 순위 등 다양하게 발표되었다. 국내 대학 중 세계 순위가 가장 높은 대학 순위는 129위였다. 이 수치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어려운 순위다. 그 이유를 해당 기관에서는 “피인용 상위 논문·출판물 비율과 국제 공동연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낮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필자가 여기서 말하고 싶은 것은 대학 순위가 아니다. 이 결과에 대해서는 대학교와 많은 교육 연구 기관에서 연구가 진행될 것이고, 비록 실효성 없는 해결책이지만 해결책도 제시될 것이다. 필자가 말하고 싶은 것은 고등학교 제자 이야기다. 이맘때만 되면 유독 더 생각난다.
“세계 100위 안에도 못 드는 대학은 안 가겠습니다. 대신 제가 하고 싶은 일을 하겠습니다.”
이 말을 들었을 때 필자는 큰 충격에 빠졌다. 왜냐면 수도권 대학에 갈 성적도 되고, 그래서 당연히 성적에 맞춰 대학에 갈 것이라고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그 당연함이 얼마나 큰 죄인지 알기에 필자는 더 이상 학생들에게 예전의 당연함을 강요하지 않는다.
필자의 학교에서도 얼마 전 신입생을 위한 입학 전형이 있었다. 중학교에 무슨 입학 전형이 있느냐고 의아해하겠지만, 아주 엄정하게 입시가 진행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전형 방법은 서류 전형과 면접이며, 서류 전형의 핵심 문제는 “진정한 교육이 무엇인지”를 묻는 문제이다.
이 문제를 넣은 이유는 교육 수요자들의 생각을 직접 듣기 위해서다. 전형을 진행할 때마다 느끼는 것은 가면 갈수록 학교 안보다는 학교 밖에서 교육에 대한 논의가 더 활발히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정체된 학교 안과 변하려는 학교 밖! 그 차이 정도가 곧 공교육 붕괴의 속도와 비례한다면 너무 억지일까! 올해 단연 으뜸 답은 주문과도 같은 다음 말이다.
“첫째 아이가 그랬습니다. ‘○○○중학교에서 내 생애 최고의 사춘기를 보냈다고….’”
모든 수험생에게 이 주문을 꼭 전하고 싶다. 비록 지난날이 그렇지 못했다면, 앞으로 다가올 시간은 분명 자신의 생애에 최고의 날이 될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