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색 한자락

등록일 2021-11-02 20:05 게재일 2021-11-03 18면
스크랩버튼
오낙률시인·국악인
오낙률시인·국악인

“다 같이 나뭇가지에 내린 물인 것을, 어느 것은 물이라 하고 어느 것은 서리라 하고, 어느 것은 눈이라 하고 또 어느 것은 이슬이라 하고, 또 어느 것은 꽃이라 하더이다. 올 한해는 서리라기보다 눈이라 불리고 싶고, 눈이라기보다 꽃이라 불리는 한 해가 되었으면 싶고, 임께서도 그러하시길 소망합니다. 올해도 저에게 꽃을 피우는 온화한 기운이 되어주실 것도 소망합니다”

어느 새해 벽두에 카카오톡으로 나눈 지인과의 새해 인사에서 필자가 보낸 인사 문구인데 생각이 나서 이 글에 인용해 보았다.

나이 들면서 가능하면 아름다운 생각과 아름다운 언어와 아름다운 눈과 아름다운 표정으로 살고 싶다. 뉜들 그게 꿈 아닐까 해도 사람 살이 하면서 그게 그리 쉬울까 해도, 이제 내 남은 생애에 이루고 싶은 꿈이 있다면 그것이고 싶다. 아름다운 꽃과 아름다운 사람과 아름다운 가족과 아름다운 이웃하며, 가을이면 투정하듯 붉게 물드는 단풍과 그리고 때론, 내 어여쁜 아기 손주의 해맑은 웃음소리를 들으며 살고 싶다.

흔히 꽃과 나무와 온갖 새들이 살아가는 이 지구를 낙원이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저 꽃과 나무와 새들의 입장에서 봐도 인간과 더불어 살아감이 낙원처럼 느껴질까?

지구의 주인은 인간이 아니다. 지상에 튼실하게 뿌리를 박으며 살고 있는 갖가지 식물들이 지구의 주인이다. 지구는 온갖 식물들이 살아가는 낙원이고 인간은 지구를 탐하며 끊임없이 공격을 가하는 침입자가 되는 셈이다. 그리고 인간은 굳이 물구나무를 서지 않고서도 문어나 오징어처럼 여러 개의 발로 지구를 어루만지며, 지구에서 자라는 갖가지 식물들을 마치 소가 풀을 뜯듯 하며 살고 있다. 따지고 보면 우리 인간이라는 존재는 우주라는 허공에 부유물처럼 떠있는 존재로서 지구의 표면에 최대한 달라붙어 끝없이 지구를 탐하고 있는 셈이다.

인간은 밤이면 등을 지구에 대고 중력을 잃은듯 네 발을 버둥거리며 허공에 떠 있는 우스꽝스런 모습을 하곤 한다. 잠자는 모습이다. 그러기 위해서 인간은 가급적 지구로부터 멀리 이탈하지 않으려고 집이라는 건물을 짓고 방이라는 좁은 공간에 몸을 의탁하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인간이 아무리 지구를 가지려 해도 결국엔 지구의 표면을 배회하는 지구의 주변에 불과할 뿐, 가끔은 죽음에 이르러서야 묘지에 들어가서 지구에 안착하기도 한다. 요즘의 장례식 문화는 화장 문화가 주류를 이루는 탓에 그마저도 성공률이 희박한 실정이다.

소나 돼지 닭, 또는 물고기…. 인간들은 날마다 혹은 자주 그들의 장례를 치르며 그들의 빈소에서 허기를 채우고 있다. 자연이라는 이름을 가진 생명이 사는 지구를 탐하다 희생당한 동물들의 장례식을 치르는 것이다. 잘 손질된 야크의 사체를 등짐으로 지고 땀을 흘리며 언덕길을 내려가는 저 높은 곳의 족속, 네팔 사내들의 진지함 쯤은 되어야 내가 아는 최소한의 약식 장례식이라 할 수 있을 터인데, 한 접시의 고기요리를 마주하고 있는 우리는 지금, 지구의 정복을 위해 인간과 연대하여 싸우다가 장렬히 최후를 마친 그들의 장례식을 너무 경박하게 치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다.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