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감사 교육부터

등록일 2021-09-22 19:54 게재일 2021-09-23 18면
스크랩버튼
이주형 시인·산자연중학교 교감
이주형 시인·산자연중학교 교감

“하루에 열 번은 행복해요. 눈을 뜨면서부터 행복해요. 모든 게 감사해요.” 모 방송에서 나온 말이다. 이 말을 한 출연자의 얼굴에는 어둠이나 슬픔, 걱정 따위의 표정은 없었다. 얼굴에는 늘 웃음이 떠나지 않았다. 웃음에서 억지라고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웃음은 얼굴에만 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그는 행동으로 보여주었다. 비를 맞고 일을 하는 그의 몸 어느 곳 하나 웃음이 피지 아니한 곳이 없었다. 심지어 그의 몸을 타고 흐르는 비도 웃고 있었다. 당연히 그가 웃음으로 가꾸는 작물도 모두 웃고 있었다.

행복은 마음을 비우는 순간에 저절로 온다는 그의 말에 고개가 끄덕임으로 답을 했다. 그런 그에게 진행자가 앞으로 목표가 무엇인지 물었다. 필자는 마음을 비운 사람은 과연 어떤 목표가 있을지 궁금했다. 아니나 다를까 그는 참 많은 사람의 도움으로 자신이 지금까지 올 수 있었다며 그분들께 받은 은혜를 조금이라도 보답하며 살고 싶다고 하였다.

필자는 그의 말에서 삶의 의미를 알았다. 삶이란 은혜(恩惠)와 보답(報答)의 연속이라는 것도 확실히 깨달았다. 그리고 문득 생각했다, 우리가 사는 일 중에 은혜 아닌 것이 무엇이 있을지를! 은혜 앞에 오는 말들을 떠올렸다. 부모님의 은혜. 자연의 은혜, 친구의 은혜, 절대자의 은혜 등! 분명 세상 모든 일은 은혜 안에 있었다.

은혜를 생각하다 은혜와 가장 이웃한 말을 찾았다. 그것은 감사(感謝)다. 감사함은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다. 감사함을 아는 사람은 마음의 문이 열린 사람이오, 그 반대인 사람은 마음의 문이 닫힌 사람이다. 마음이 닫힌 사람에게 은혜와 보답이 있을 리 없다. 감사함을 아는 사람은 은혜를 알고, 은혜를 아는 사람은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노력하는 보답의 삶을 산다. 이것이 우리가 숱한 힘듦을 이겨내며 지금까지 살아온 삶의 방정식이다.

그런데 이것이 무너졌다. 사회 많은 곳에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 주는 가장 기본적인 연결 고리인 감사함이 사라졌다. 그나마 남아 있던 감사함조차 형식적으로 변질하고 있다.

감사함은 저절로 마음에서 우러나기도 하지만, 학생들에게 있어 감사함은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의 대상이다. 지독한 입시 덫에 갇히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 교육의 최고 목표는 학습자가 감사함을 내면화하고, 삶 속에서 그것을 실천하는 것이었다. 이런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와 가정과 사회는 합심하였다. 그리고 서로가 모범이 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학교도, 사회도, 가정도, 종교도, 심지어 사랑도 모두가 맹목적으로 변질하고 있다. 맹목적인 학교, 맹목적인 사회, 맹목적인 가정 등 학생들이 감사함의 의미와 자세를 배울 곳이 사라지고 있다. 그러니 학생들도 맹목적으로 변하고 있다. 맹목적인 삶에 참 행복은 없다. 학생이 행복해야 가정도 행복하고, 가정이 행복해야 우리 사회도 행복하다. 이를 위해 어른들의 맹목적인 생각을 내려놓고 학교와 가정에서 학생들에게 감사와 은혜의 참 의미를 가르치면 어떨까! 그리고 그것을 생활 속에서 함께 실천하면….!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