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에 해당하는 인심은 세상이 변한다고 따라 변하는 게 아니다. 다만, 세상인심이 어쩌고 하는 것은, 물질문명의 무게증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나약해진 인간들이 그 무게를 감당치 못해 발생하는 약간씩의 일그러진 모습일 뿐이다. 언제나 사회적 불안은 인심의 부재로부터 시작됐다.
상대적으로 많이 가진 자이거나 사회적으로 강자의 입장에 있는 사람들이 늘 인심의 도마에 오르곤 해왔다. 사회적 강자의 위치에 서려면 상대적으로 주위 사람의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의 희생과 도움에서 얻어진 힘과 지위를 이용해 도리어 그들 위에 서서 군림하고 지배하려 한다면, 또 반대로 도움을 준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마음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강자가 있다면 적어도 작금의 현대사회에서는 그 결과가 극과 극으로 나타나 세상인심의 불변함을 절실히 체험하게 될 것이다. 현대인에게 적용되는 강자와 약자의 구분은 권력이 세다거나 힘이 센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또는 건강한 사람과 나약한 사람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게 아니다. 인간의 본성을 짓누르는 물질의 무게를 잘 극복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으로 구분하여야 함이 마땅하다. 조그만 물질 앞에서 쉬 무릎이 구부려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물질과 연관된 갖가지 유혹을 잘 이기고 선천적으로 부여받은 인간 그 본성에 충실하려는 사람, 드물지만 이 사회엔 분명히 있다. 해서 오늘날의 진정한 강자는 그 후자의 예에 해당하는 사람이라 해야 할 것이며, 그 후자의 예에 해당하는 사람을 진정한 강자라고 예우함이 마땅하다.
사람의 모습은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그 하나는 현재의 나타난 모습이 가식이고 그 내면이 진실인 사람, 또 다른 하나는 보이는 현재와 내면이 모두 진실한 사람이다. 십 원 앞에 바들바들 떠는 사람은 그 십 원의 무게만큼, 몇 억의 금전 앞에서 지금껏 잘 지켜오던 양심을 저버리고 마는 사람은 또 그 몇 억의 무게만큼, 그들은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해 그 무게에 깔리고 마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누가 세상이라는 갤러리를 경영하고 누가 그 고객이더냐/진정한 강자들이 많은 사회 그런 사회가 이뤄지는 그때쯤이면/푸른 하늘 위를 마음껏 날아다니는 은천저수지 잉어떼들의 귀에도/향내 나는 피리소리가 들릴 것이다/단 한 점의 티도 없는 호수의 맑은 물과/구름도 미세먼지도 없는 더없이 푸른 하늘이/어우러져 살맛나는 세상풍경이/늙은 화가의 화폭에도 그려지고/젖먹이 송아지를 부르는 어미소의 울음짓에도/희망의 기운이 넘치고 생일을 맞은/늙지도 젊지도 않은 아낙들의 시 읽는 맑은 음성은/태고와 미래를 있는 둘레길 가에/코스모스 꽃으로도 피어날게다’ -졸시 오낙률 ‘누가 세상이라는 갤러리를 경영 하는가’ 전문
작금의 사회는 강자와 약자의 구분을 많이 게을리 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럼으로 생겨나는 갖가지 사회적 문제가 부메랑이 되어 우리의 삶에 갖가지 위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진정한 강자와 약자를 올바로 구분해내는 것이 미래로 가는 오늘날의 사회가 당면한 최대 과제가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