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학생 앞으로 책이 도착했습니다.”
처음에는 주말 동안 학생이 집에 두고 온 학습 교재 등을 집에서 보냈구나고 생각했다.
“지난주에는 8권이, 이번에는 다른 출판사에서 74권을 보내왔습니다.”
8권, 74권, 출판사라는 말에 필자는 하던 일을 멈추고 자리에서 일어나 책이 있는 곳을 보았다. 필자 눈이 닿은 곳에는 책이 탑을 이루고 있었다. 책을 정리하는 선생님의 모습이 행복했다. 의아해하는 필자에게 선생님은 책이 도착한 사연을 이야기해 주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올해 1학기 초에 실시한 학생회 선거에서 전교 부학생회장에 출마한 ○○○ 학생이 학교 도서관에 신간 도서를 채우겠다는 공약을 발표하였다. 평소 이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 고민하던 학생은 방학 때 청소년 도서 출판사에 책 기부를 부탁하는 메일을 보냈다. 그리고 너무 감사하게도 학생의 간절한 소리를 들은 출판사에서 학생의 부탁에 화답한 것이다.
이야기를 다 듣고 필자는 산자연중학교 학생들에게 너무 미안해졌다. 그리고 자신이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용기를 낸 학생이 대견하고 고마웠다. 나아가 학생의 외침에 답을 해준, 또 학생에게 아직도 이 나라에는 희망이 있음을 보여준 출판사들이 존경스러웠다.
지난주 몇몇 출판사는 학교로 직접 전화를 해서 학교로 보낼 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하였다. 지금까지 학생의 요청에 기꺼이 화답해준 출판사는 ‘특별한 서재’와 ‘사계절 출판사’다. 절망과 불신만 가득한 사회에 희망과 믿음의 불을 쏘아 올린 학생이 보낸 메일 전문을 인용한다.
“산자연중학교에 책 기부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산자연중학교 전교 부회장 ○○○입니다. 저는 귀사에서 출판한 책들을 즐겨 읽는 학생입니다. 귀사의 책을 기부받고 싶어 메일을 드립니다. 저희는 대안 학교이기에 정부로부터 예산 지원을 받지 못하고 학교에 도서들을 살 예산이 없어 도서관에 새로운 책이 채워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매번 같은 책을 읽어 책이 너덜너덜해진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귀사의 도서를 ‘산자연중학교’에 기부해 주신다면 보다 다양한 책을 접하고 더 높은 수준의 지식을 앙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물론 신간 도서를 무작정 기부해주십사 요청하는 것은 아닙니다. 출판 과정에서 생기는 파쇄본 또는 폐간 도서를 기부해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파쇄본 또는 폐간 도서를 기부해 주신다면,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고, 귀사가 파쇄본 또는 폐간 도서를 처리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버려지는 파쇄본 또는 폐간 도서로 저희의 지식을 채울 수 있어 일석이조라고 생각합니다. 메일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학생들은 새로운 책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기부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고민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우리 교육은 언제 학생의 외침에 화답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