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눈으로 보는 믿음과 개선

등록일 2021-08-30 20:07 게재일 2021-08-31 18면
스크랩버튼
엄주선 포스코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엄주선 포스코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우리의 몸이 10할이면 눈이 9할이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보는 것이 중요하고 큰 역할을 한다는 의미이다.

우리의 일상은 아침에 눈을 뜨면 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저녁에 잠자리에서 잠자기 전까지는 거의 모두 보는 것들의 연속이다. 그러기에 본다는 것의 의미도 단순히 보다(見), 살피다(察), 황새 관(隹)+볼 견(見)자를 결합하여 높은 곳에서 먹이를 찾듯 자세히 보다(觀)와 같이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그렇기에 시각정보는 우리 생활에서 필수에 가까운 요소이며 많은 영향을 끼친다. 또한 일상에서 자연스러운 것이기 때문에 기업에서도 이를 잘 활용하여 안전 확보와 편리하고 효율적 생산활동은 물론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산업공학에서는 경영활동의 일환으로 ‘눈으로 보는 관리(VM·Visual management)’라고 부르고 있다.

즉, VM은 현장의 생산목표와 과정, 설비, 제품, 작업, 환경, 안전 모든 것에 대하여 누구라도 이상과 정상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하여 이상 발생 시 빠르게 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인 상태가 지속, 유지되도록 해나가는 예방적 관리수단인 동시에 현장의 자율신경을 갖추는 도구인 것이다.

눈으로 보는 관리의 첫번째 단계는 생산현장의 깨끗하고 청결한 유지이다. 바닥이나 설비가 오염되어 있으면 이상을 발견하기 어렵고, 특히 조립라인에서는 부품이나 나사 등이 떨어져 있으면 안되는 것을 표준으로 정하여 이상을 바로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두번째는 생산에 사용되는 설비와 자재·재료에 대하여 이상과 비정상을 보이게 하는 것이다. 설비의 경우 정상 가동을 위하여 점검하여야 할 개소에 대한 이상·정상 범위의 표시를 하도록 하며, 자재·재료에 대해서는 어디에 무엇이 얼마나 있는지를 명확하게 표시하여 누구라도 쉽게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세번째는 생산 진행과 작업의 늦고 빠름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당일의 생산 목표와 진행이 보이고, 본인의 작업에 대하여 표준 순서와 시간이 있으면 늦고 빠름을 알 수 있다. 도요타자동차는 이를 ‘표준작업’이라 하여 본인의 작업에 대한 표준 순서와 시간을 생산 차량의 종류마다 정하여 작업의 시간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본인이 스스로 판단 로프를 당겨 도움을 청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듯 생산현장을 눈으로 보이게 하는 것은 상기 3가지 요소 외에 현장의 안전확보를 위한 각종 표시와 관리까지 확대할 수 있다.

최근 개발, 발전되는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눈으로 보는 관리’를 디지털 기술과 접목하여 산업현장에 구현해 나간다면, 한층 더 편리한 작업으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작업 안전 확보로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임에 틀림없다.

백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듯이(百聞不如一見), 보는 것이 믿는 것이고 무엇이든지 직접 보고 경험해봐야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