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확산 이후 집합금지나 영업제한 등으로 인한 영세·자영업자들의 고난이 1년여 넘게 이어지고 있다.
이제는 코로나 방역대책이 이대로 좋은가 근본적인 검토를 할 때가 됐다. 문재인 정부는 코로나19 유행 초기에 K방역을 통해 유행 통제에 성공했다. 코로나가 확산되면 검사 수를 크게 늘려서 숨은 감염자를 찾아내고, 물 샐 틈 없이 역학조사하고, 생활치료센터를 만들어서 확진자를 모두 격리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그 이후 2차, 3차 유행이 지나갔고, 4차 유행까지 왔다. 그동안 코로나19 유행의 성격과 규모는 1년6개월 전과 차원이 달라졌다. 그러면 상황에 맞게 대응 방식을 고민하고 전략을 짜야 하는데, 정부는 아직도 기존 방식의 방역대책을 재고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
이제 코로나와 함께 공존하는 위드 코로나 대책을 논해야 할 때다. 우선 변이 바이러스가 계속 출현하는 가운데 과연 집단면역이 달성 가능할까.
현재 대세를 이루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감염재생산지수(R0)가 최소 5 이상이다. 현 정부가 집단면역 달성수준을 백신접종률 60~70%로 잡은 것은 코로나19 R0 값 2.5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R0가 5이면 백신접종률이 80%로 올라가야 집단면역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최근 10부제로 예약한 18∼49세 연령층의 백신접종 예약률이 60.3% 수준에 불과하다. 추가 예약을 받아도 접종률 70%를 넘기기 어렵다. 과연 집단면역이 달성 가능할까.
더구나 바이러스 역시 생명체여서 계속 변이종이 나타난다. 지난 연말에 인도에서 델타변이가 등장했다는 소식에 남의 집 불구경하듯 했는데, 1년도 지나지 않은 지금 델타변이가 국내 우세종이 됐다. 지난해 10월 페루에서 처음 확인된 람다변이 바이러스가 이달 들어 일본에 이어 필리핀에서도 검출돼 새로운 우세종으로 번질 기세다. 람다 변이도 델타 변이처럼 백신 효과를 떨어뜨린다고 알려져 위협적이다.
영국의 경우 델타변이 때문에 6월에 확진자 5만명 정점을 찍고 내려와 지난 7월 19일에 ‘자유의 날’을 선언하면서 방역을 다 풀었다. 유행세가 다시 심해질 거라고 예상했는데 확진자가 급증하지는 않고 있다. 높은 백신접종률과 자연감염으로 면역을 획득한 인구가 합쳐져 일종의 집단면역 상태가 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영국의 확진자는 2만~3만명에 이른다. 한국으로 환산하면 일일 확진자 1만5천명 수준이다. 우리가 집단면역을 이뤄도 방역을 풀면 매일 이 정도 확진자가 생긴다는 얘기다. 집단면역을 완성하지 못해도 백신은 매우 중요하다. 확진자의 목숨이 위태로워지는 걸 막는 ‘중증 예방 효과’가 높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쯤되면 정부가 코로나와의 전쟁에서 일방적으로 이기기 어렵다는 걸 인정하고, 백신 물량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사태가 더 심각해지기 전에 중증환자를 돌볼 의료자원 확충에 힘을 쏟아야 한다. 그게 K방역을 위드 코로나로 바꿔나가는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