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생로병사

등록일 2021-08-01 20:00 게재일 2021-08-02 18면
스크랩버튼
류영재포항예총 회장
류영재 포항예총 회장

산책이라도 할 생각으로 감나무 집 앞을 지나다보면 어김없이 검둥이가 무섭게 짖어댄다. 검둥이는 반들반들 윤기 나는 까만 털에다 날렵한 몸매, 매서운 눈빛을 가져 얼핏 보기에도 싸움깨나 하게 생긴 이웃집 견공이다. 내가 지나갈 때면 매번 묶어둔 쇠줄을 끊을 듯 사납게 날뛰며 짖어대는데, 무심한 듯 딴 곳을 쳐다보며 지나치곤 하지만, 그 앞을 지날 때면 언제나 서늘한 기분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속마음과 겉 행동이 한결 같지는 않은 법이다.

요즘은 시낭송을 전문으로 하는 동호회가 여럿 있고, 이들이 모여서 결성한 단체도 있다. ‘시의 행간에 날개를 달아주는’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활동하는 시낭송협회는 올해가 벌써 10주년이라 한다. 시낭송협회에서 많은 역할을 하는 지인과의 자리에서 분위기가 되어 결례를 무릅쓰고 낭송을 청하였는데, ‘개싸움’이란 시를 조용히 읊조렸다. 조용조용한 그의 낭송을 들으며 행간의 의미를 새기다 ‘담벼락을 무너뜨릴 듯’이란 대목에서 불현듯 검둥이가 떠올랐다.

“…. 나는 되도록 그 집을 피해 다니거나 조심스럽게 지나가지만 매번 이제 됐다 싶은 지점에서 그가 담벼락을 무너뜨릴 듯 짖어대기 시작하면 뭔가 또 들킨 것 같다. 나는 쓰레기 분리수거도 철저히 하고 적십자회비도 제때 내며 법대로 사는 사람인데 아무래도 그는 내 속의 누군가를 아는 것 같다. 그깟 개를 상대로 분개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겁을 먹는 건 아니다. 그래도 그것이 무엇이든 나를 들여다본다는 것은 언짢은 일이다.”(이상국 시인의 ‘개싸움’에서)

내가 ‘돌골마을’에 들어와 산지도 삼년이 지났다. 감나무 집의 목단은 올해도 화중지왕의 위용을 자랑하며 장독대를 뒤덮을 듯 수북하게 피었다가 졌고, 감나무는 성성한 가지를 담 너머로 뻗어 채 익지도 않은 감들이 길바닥에 떨어지기도 한다. 감나무에 묶여있던 검둥이는 그새 세상을 떠났고, 산책길에 그 앞을 지날 때면 습관처럼 검둥이를 떠올린다. 생로병사가 자연의 섭리니 어쩔 수 없는 일, 지금 기억해보니 참 잘 생긴 녀석이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동물이건 식물이건 생명이 있는 것은 그 유한함 때문에 언젠가는 떠나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부지불식간에도 숱한 만남과 이별을 되풀이하며 살아가고 있다.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이별이 있는가 하면 더러는 울림이 큰 이별도 있다. 검둥이가 떠나고 어느 날, 대문 앞에서 떨고 있는 병약한 새끼고양이를 만났다. 깨끗이 씻기고 사료를 우유에 불려서 먹이고 담요에 잠재운 후 이튿날 동물병원에 데려가니 워낙 쇠약하여 곧 떠날 것이라 하였다. 자는 듯 곱게 떠난 그를 종이 박스에 담아와 눈물을 찍어내고 있는 딸아이에게 위로랍시고 회자정리며 생로병사에 대하여 이야기 하였으나 아기 고양이에게 생로병사가 어찌 가당한 일이겠는가.

조그만 몸을 고운 한지로 여러 겹 싸서 뒷산 양지바른 곳에 정성껏 묻어 주고 명복을 빌었다. 이틀에 불과한 짧은 인연이었지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만남이었다. 우리는 또 얼마나 많은 만남과 아픈 이별을 하게 될지.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