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공포영화에 나오는 좀비, 괴물, 귀신들의 이름 정도는 다 외울 것 같아.”
식사 자리에서 우연히 만난 중학교 3학년의 말이다. 예술 관련 분야, 특히 영화에 관심이 많다는 이야기를 듣던 터라 학생의 말에 자연스럽게 귀가 열렸다.
“기말고사 끝나고 교실은 완전히 영화관이야. 선생님들은 수업 시작종 치면 들어오셔서 영화 틀어주시고 그냥 나가. 그리고 마침 종 치면 오셔서 컴퓨터 정리해서 가셔.”
시험과 교실이라는 말을 듣는 순간 필자의 심장은 내려앉았다. 비록 짧은 학생의 이야기였지만, 필자에겐 대하소설을 몇 편을 읽는 시간보다 더 긴 시간이었다. 그리고 교실 붕괴와 같은 안타까운 교육 뉴스들이 머릿속에 중첩되어 지나갔다.
학생의 말에는 특별한 어조가 있었다. 그것을 한마디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비난과 분노 등이 혼재한 말투는 필자가 최근에 들어본 말 중에서 최고로 섬뜩한 어조였다.
“아들, 그것은 시험 본다고 고생했다고 선생님들께서 너희들 쉬게 해주시는 거잖아.”
당황에 갇힌 필자를 위해 지인이 아이를 달랬다. 하지만 학생의 학교 생중계는 계속됐다.
“아빠, 일주일 내내 영화를 보는 것은 아니잖아. 한 친구는 악몽 때문에 밤에 잠을 못 잔대.”
학생의 말에 지인은 필자를 보았다.
그리고 눈빛으로 미안하다는 표시와 함께 아이의 말이 진짜인지, 만약 사실이라면 진짜 학교에서 그래도 되는지를 물었다. 필자 대신 학생이 답했다.
“학교는 시험 끝나면 다 그래. 평상시에도 수업 안 듣는데 시험 끝나고 누가 수업 듣겠어.”
물론 모든 교실 풍경이 이 학생의 말과 같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건 학교에는 시험 이후에 학생들에게 제공할 교육 프로그램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설사 있다고 하더라도 학교의 시작과 끝을 시험이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에게는 그 어떤 의미도 주지 못한다.
코로나19로 모든 것이 혼돈한 지금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그 혼돈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그 노력은 위기 속에서도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런데 학교만 아니다.
코로나19 사태로 모일 수도 없고, 또 체험활동도 제한되는 등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을 잘 안다. 그런데 안타까운 것은 기말고사 이후의 학교 모습은 코로나19 전후가 차이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한결같아도 이렇게 한결같을 수는 없다.
“도대체 왜 학교에 오라고 하는 건지 정말 모르겠어!”
학생은 이 말을 끝으로 밥만 먹었다. 그 모습이 마치 체한 듯 마음에 오래 남았다.
퇴근길 라디오에서 테라피(therapy)라는 말을 듣는 순간 필자는 무릎을 쳤다. 어쩌면 유연성이라고는 전혀 없는 지금 우리 교육계에 제일 필요한 것이 테라피, 특 치료가 아닐까는 생각을 했다. 경직될 대로 경직된 교육계에 유연성을 불어넣어 줄 교육 테라피는 정말 없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