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을 투자의 최우선 순위로 삼겠다. (….) 2050년까지 넷제로(Net-zero)를 달성할 수 있는 사업계획을 공개하라. 기업 비즈니스 모델을 넷제로 경제와 어떻게 결부시킬지(….)”
세계 최대 자산운영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이 투자기업 CEO들에게 보낸 서한 중 일부이다. 래리 회장의 서한은 전 세계 기업의 경영 방향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여기서 넷제로(Net-zero)란 지구 기후 변화를 초래하는 온실가스 배출과 흡수가 균형을 이룬 상태, 즉 탄소중립을 의미한다. 세계 경제계의 큰손인 래리 핑크 회장의 서한은 글로벌 기업들에게 ESG 경영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도록 만들었다.
그럼 ESG란 무엇인가?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앞 글자를 딴 용어로 기업이 얼마나 친환경적인 활동을 하고, 또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나아가 지배구조에서 어느 정도 의사결정의 독립성과 투명성을 담보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ESG는 개별 기업을 넘어 지구의 운명을 가를 키워드로 부상했다.
ESG를 좀 더 쉽게 말하면 지구에 대한 기업의 책임이다. 지금까지 기업은 지속 발전 가능과는 거리가 먼 경영을 해 왔다. 기업은 내가 살지 않으면 내가 죽는 살벌한 경쟁 속에서 어떻게든 살아남기 위해 기술 개발에 사활을 걸어야 했다. 그 기술이 기업도 살리고, 또 인간의 삶을 편하게 만들었다. 편함에 길들어진 인간은 더 편한 것을 원했고, 기업은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인간 중심의 기술 개발에 더 박차를 가했다.
인간이 기술과 편함의 노예가 되어가는 동안 지구 생태계는 거의 회복 불능의 상태로 변했다. 지구 생태계는 인간 생존과 직결된다. 생태계 파괴는 곧 인간 파멸을 의미한다. 다행스러운 것은 래리 핑크 회장과 같은 이들이 지구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나섰고, 기업들도 이제 ESG 경영을 달성하기 위해 기업의 명운을 걸고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ESG 경영을 시작한 기업과는 달리 소비자들의 행동은 굼뜨기만 하다. 그 이유는 그들을 교육하는 교육계의 문제다. 아직도 이 나라 교육은 입시 올가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래도 희망적인 것은 래리 핑크 회장처럼 경북교육청에서 환경교육에 대해 실질적인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경상북도교육청연구원은 ‘탄소 ZERO’ 실천으로 종이 인쇄물 대신 웹매거진으로 ‘좋은 Gyo6 나눔’이라는 교육 잡지를 발간하고 있다. 7월 주제는 생태환경교육!
다음은 경북교육청에서 환경교육을 담당하는 박경애 장학사의 원고 중 일부이다. “기후 위기는 미래에 대한 기우가 아니라 현재의 재난으로 가시화되고 있으며 이제 환경문제는 어느 누구도 피해 갈 수 없는 인류 생존의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기후 위기 환경재난에 대한 대처 방안을 경상북도교육청은 환경교육에서 찾으려 노력하고 있다.” 경북교육청이 추진하는 환경교육이 지구를 살리는 ESG 교육모델을 꼭 제시하기를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