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 철회 촉구 성명 이어<br/>市도 대책회의서 반대 입장 정리<br/>한국남동발전에 결과 통보키로 <br/>권 시장 “주민께 심려 끼쳐 죄송”
대구 달성군 국가산단 부지 LNG복합화력발전소 건립에 대한 대구시의 반대 통보 입장을 접한 달성군 지역민들의 반응이 뜨겁다. 그동안 환경·건강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해 발전소 건립에 반대하는 주민들의 입장과 정부의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건립이 필요하다는 한국남동발전 측의 입장이 대립했기 때문이다.
25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수립된 제8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한국남동발전은 2022년 대구국가산단 2단계 부지에 LNG복합화력발전소를 착공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후 한국남동발전은 2019년 11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지역민들의 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의견수렴 과정을 진행했다.
그러나 이 사업에 대한 주민 다수의 이해와 동의는 모이지 않고, 환경오염과 인근지역 우포늪의 생태계 파괴 등을 걱정하는 주민들의 반대 의사만 점점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24일 대구시의회가 LNG발전소 건립계획의 즉각 중단과 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에 대구시는 25일 권영진 대구시장 주재로 행정부시장, 경제부시장, 관련 국·과장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그 결과 더 이상 지역주민 수용성 확보가 어렵다고 판단해 공식적으로 국가산업단지 LNG발전소 건립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정리해 한국남동발전에 통보하기로 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그동안 이 문제로 달성지역 주민들께 심려를 끼쳐 드린 점에 대해 죄송하다”며 “아울러 한국남동발전에 대해서도 지역주민들의 뜻을 받들고자 하는 대구시의 불가피한 입장을 양해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앞서 발전소 부지 인근 주민들은 발전소 건립을 반대한다는 주장을 지속적으로 펼쳤다.
달성군 주민들로 구성된 LNG복합화력발전소건립반대추진위원회는 지난 1월부터 이달 19일까지 대구시청 및 별관 앞에서 다섯 차례 집회를 개최했다. 또 달성군 구지면 한국남동발전 대구복합건설소 앞에서도 수차례 집회를 가졌다.
주민 김모(55) 씨는 “인근에 발전소가 들어설 경우 미세먼지 원인이 되는 유해대기물질이 배출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며 “부지 반경 5㎞ 내에 주거지역이 있는데다 분양을 앞둔 아파트도 있고,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우포늪과도 10㎞ 거리에 있어 환경오염이 가장 걱정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대구시의 이번 결정이 주민들의 반대 의사를 수용한 것으로 보여 매우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구자학 달성군의회 의장은 “명분도, 실리도 없는 구지 LNG발전소 건립계획이 무산돼 다행이다. 현재 구지 지역은 주거환경 개선과 주민복지 시설 설치가 더 시급한 사업이며,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비롯한 질소산화물 등 각종 오염물질 노출로 인한 주민건강이 우려된다”면서 “특히 이 계획은 주민동의도 받지 않고 제대로 된 주민설명회도 하지 않아 구지면민과 달성군민을 무시하는 처사일 뿐 아니라 달성군 발전을 저해하는 사항이었다”고 강조했다.
한국남동발전은 아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1조7천억원 규모의 발전소가 건립되면 1만여 명 고용 및 3조8천억원 생산 유발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했기 때문이다. 또한 발전소 주변지역의 경우 건설 및 운영 동안 400억원의 지원금을 확보할 수 있고, 1천억여원의 지방세수 확보 효과도 기대했다.
한국남동발전 관계자는 “대구시로부터 전달받은 내용이 없어 아직 공식적으로 정해진 내용이 없다”며 “현재 내부적으로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