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당신 인생의 우산은 무엇인가요?

등록일 2021-03-21 19:23 게재일 2021-03-22 18면
스크랩버튼
문가인<br>참마음심리상담센터 원장
문가인참마음심리상담센터 원장

길을 나선다. 지저분한 옷차림으로 햇빛 아래 누워 있는 사람을 본다. 파리가 그의 입가에서 먹다 남은 음식물을 빨아먹고 있다. 그는 슬쩍 눈을 한번 떴다 감을 뿐, 파리를 쫓아낼 힘조차 남아 있지 않다. 사람들은 그들을 노숙자라고 한다.

이번에는 지하철 역사다. 쇼핑하는 사람들, 음식을 먹거나 데이트하는 사람들 사이로 계단에 쭈그리고 앉아 있는 한 사람이 보인다. 초점이 없는 멍한 눈으로 어딘가를 쳐다보며 중얼거리고 있다. 사람들은 그들을 정신병자라고 한다.

다시 길을 걸어본다. 한쪽 다리가 불구인 사람이 고개를 푹 숙이고 앉아서 구걸하고 있다. 그의 앞의 종이상자에는 사람들이 던져두고 간 동전 몇 개가 나뒹굴고 있다. 사람들을 그들을 거지라고 한다.

나는 생각해본다.

내가 매일 만나는 노숙자, 정신병자, 거지라는 이름으로 살아가는 이들은 부모를 잘 못 만나서, 국가를 잘못 만나서, 팔자가 나빠서 이렇게 된 것일까?

내가 최근에 만난 그는 ‘간혈성 폭발성장애’라는 진단명을 가지고 나를 찾아왔다. 그는 현재 무직이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고 한다. 하는 일마다 꼬인 상태에서 심리상담이라도 받으면 자신의 인생이 풀릴까 해서 나를 찾아왔다고 한다.

그런데 그의 말을 들어보니 그의 언어는 모두 ‘남 탓’이라는 하나의 주제로 귀결되어 있었다. 부모님이 어렸을 때 이혼해서, 아내가 나쁜 여자라서, 대한민국에서 태어나서….

그는 정말로 진지하게 물었다.

내담자: 저는 왜 인생이 꼬이고 나쁜 사람만 만나게 될까요?

나는 대답을 하는 대신 그에게 이렇게 질문했다.

상담자: OO님 비가 올 때 당신에게만 내립니까? 바람이 불 때 당신에게만 불어오나요?

그때 그는 순간적으로 침묵했다.

사람들은 일이 잘 안 풀리면 부모 탓을 하고, 남 탓을 하고 사회 탓, 국가 탓을 한다. 혹은 팔자 타령에 더하여 귀신 타령까지도 한다. 온갖 변명거리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런 변명, 합리화의 좋은 점은 자신이 변화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남 탓은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방어기제 중의 하나로 합리화(rationalization)라고 한다. 변화되지 않으므로 시시포스가 바위를 언덕 위로 굴렸다가 바닥으로 떨어뜨리듯이, 어제와 같은 오늘이 그리고 내일이 펼쳐지면서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비는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내리며, 바람은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부는 것이다. 이 비와 바람이라는 것이 우리의 인생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스트레스라고 볼 수 있다. 비가 오고 바람이 불고 천둥이 칠 때 당신의 대처방식은, 인생의 스트레스에 맞닥뜨릴 때 당신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비와 바람 탓을 하는 사람은 인생의 스트레스에 대해 남 탓을 할 것이고, 비와 바람을 수용하고 우산을 준비하는 사람은 인생의 스트레스를 극복할 자신의 능력을 키우는 사람일 것이다.

심리상담을 마치고 공원 앞을 산책해본다. 마침 한 남자가 빗속의 공원 풍경을 사진 찍고 있었다.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