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갖고 500억 투입 기본 구상안 발표<br/>지하 1층~지상 3층 건물에 도서관·개방형수장고·전시실 들어서
[문경] 문경 옛 쌍용양회 문경공장 부지에 국내 첫 국립산업역사관이 들어선다.
9일 문경시에 따르면 국립산업역사관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사업비 500억원을 들여 대지 1만3천㎡에 건축 단면적 4천㎡, 연면적 1만6천㎡의 지하 1층·지상 3층 건물을 짓는 기본구상안을 발표했다.
지하 1층에 도서관·보존시설을, 지상 1층에 개방형수장고·기념품가게를, 2층에 상설전시실·세미나실·강당을, 3층에 기획전시실·어린이전시실·사무시설을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산업역사관을 지어 당시 시대상과 기술력, 시멘트 소재산업 발전 등을 전시·소개하고 교육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옛 쌍용양회 문경공장은 국제연합한국재건단(UNKRA)이 한국전쟁 이후 구호와 경제 재건을 목적으로 1957년 건립한 시멘트 공장이었다. 쌍용양회가 인수해 운영하다가 2018년 문을 닫았다.
문경시는 조만간 최종안을 확정한 후 문화체육관광부 승인을 받아 시멘트 소재산업 역사를 볼 수 있는 국립산업역사관을 지을 계획이다.
고윤환 시장은 “쌍용양회 문경공장은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까지 눈부신 공업화를 이룬 한국의 뜻깊은 역사 콘텐츠”라며 “신기동 일원에 추진하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및 실내촬영 스튜디오 사업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강남진기자 75kangn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