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장모님, 우리 장모님!

등록일 2021-02-15 18:47 게재일 2021-02-16 18면
스크랩버튼
권윤구 <br>포항 중앙고 교사
권윤구포항 중앙고 교사

‘장모님! 제가 누구인지 알아요.’ ‘누구세요 몰라요.’ 눈을 마주치지 않고 피하면서 고개를 떨구고 만다. 6남 1녀의 유일한 사위 권서방을 몰라본다. 지금까지 권서방! 권서방! 했던 장모님이 치매라는 판정을 받은 너무나 안타까운 일이다.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필연적으로 치매 환자도 급증하고 있다. 치매는 고령화 시대의 숙명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어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현재 치매를 앓고 있다고 한다. 엄청 빠른 속도이다.

칠십대 후반인 큰형님이 장모님을 모시고 있다. 하지만 농사를 짓고 계시는 형님은 치매인 장모님이 혼자 집에 계실 때 가스로 인해 여러 번 어려운 일이 생기고 집에서 150m 근처의 아주 가까운 노인 요양센터에서 생활을 하시게 됐다.

2020년은 코로나19로 요양센터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많이 발생했다. 이것으로 인해 방문을 못하는 어려움이 생기게 됐다. 코로나19로 인해 k방역으로 대면서비스가 제한됨에 따라 요양센터를 방문하지 못하게 되면서 치매 환자들의 일상이 무너지고 있다. 특히 인지력·기억력 저하로 개인위생을 지키기 어려운 치매 환자는 치매 악화와 코로나19 감염증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한 달에 두 번은 찾아뵙고 있었는데 방문 자체를 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번지게 됐다. 한 번은 창문을 열고 3분정도의 얼굴만 바라보고 돌아온 경우도 있었다. 집에 돌아와서 한없는 한숨과 눈물을 흘리는 아내의 모습에 마음이 너무나 아파했던 기억이 난다.

이러한 문제는 사회적인 문제로 발생했다. 2월 3일 청와대 국민청원에 이런 글이 올랐다.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요양병원 환자 면회를 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이다. 뇌졸중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사연이 절절했다. 가족 중 치매를 가진 사람이나 요양병원에 가족이 있으면 인지상정으로 마음을 알 수 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치매 환자는 인지기능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인지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와 교류가 중요하므로 직접 만나지는 못하더라도 전화나 가까운 사람을 통해 정기적으로 연락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장모님께서 요즘은 요양센터에서 집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래서 조카가 옆에서 도와주어서 영상통화를 한다. 퇴근 후에 할머니에게 와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배려를 한다. 참 고맙다.

‘장모님, 장모님! 제가 누구인지 알아요.’ ‘권서방이지.’ 미소를 지으신다. ‘식사는 하셨어요, 아픈 곳은 없으세요, 사위 보고 싶으시죠,’ 등 수다를 떤다. 하지만 예전과 다르시다. 말이 없고 잔잔한 미소와 잠뿐이시다. 가슴이 아프다. 97세의 고령이었지만 늘 ‘권서방!, 권서방!’ 하셨다. 사위 사랑은 장모님 사랑이라고 하였는데 마음 한 구석이 저려온다. 나 권서방만의 아픔이 아닌 사회의 아픔이다.

오늘도 병실에서 자식을 기다리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자식이 부모를, 부모가 자식을 마음대로 볼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 해본다. 장모님을 불러본다. 장모님, 우리 장모님!!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