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입춘 무렵

등록일 2021-02-04 18:14 게재일 2021-02-05 18면
스크랩버튼
김병래 <br>수필가·시조시인
김병래수필가·시조시인

우리나라는 12월부터 석 달 동안을 겨울이라 한다. 그 때가 연중 가장 추운 기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절기상으로는 2월 초에 입춘(立春)이 들었다. 우수와 경칩을 지나 실지로 봄이 시작되는 3월 초순과는 한 달가량의 시차가 있는 셈이다.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이 월급을 가불해 쓰듯이, 겨우살이가 혹독했던 시절에 봄이란 절기라도 미리 당겨 온 게 아닐까 싶다. 봄이 선다는 입춘은 태양이 지나가는 길이라는 황도(黃道)를 24등분해서 만든 24절기 중 하나다. 그런 절기는 설이나 단오, 한가위 같은 음력을 기준으로 한 명절과는 맞지 않는다.

계절로는 아직 한 달이나 남은 겨울이지만 입춘 무렵부터 봄의 기미가 전혀 없는 건 아니다. 기후에 가장 민감한 곳인 들판에 나가보면 알 수 있다. 얼핏 보아서는 달라진 게 없는 겨울들판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죽은 듯 숨죽이고 월동하던 풀들이 조금씩 깨어나는 기척을 느낄 수 있다. 논둑길 양지쪽에는 벌써 봄까치꽃도 피었다. 검불 사이로 얼굴을 내민 작고 가냘픈 꽃이 전해주는 생명의 메시지는 참 시리고 환하다. 영하 십 몇 도까지 내려간 혹한에도 살아남아 피워낸 풀꽃을 들여다보면 삶이 절로 숙연해진다.

일 년 열두 달 날마다 들길을 걷다보면 계절의 아주 미세한 변화까지 감지하게 된다. 계절의 추이에 섬세하게 반응하는 감각이야말로 때 묻지 않은 생명감이라 할 것이다. 어제와 오늘은 전혀 달라진 게 없는데 어느덧 계절이 바뀌어 있다는 건 그 작은 변화를 건너뛰기 때문이다. 지금, 그리고 여기에 충실한 것이 가장 바람직한 삶의 자세라고들 한다. 하루하루가 다 종요로운 날이라는 말일 것이다. 혹독하게 추운 겨울날이라 해서 싫고 나쁜 것만은 아니라는 얘기다. 들길을 걸어보면 안다. 매서운 삭풍의 겨울이나 산들바람이 부는 봄날이나 어느 날이든 그 하루에 담긴 삶의 비중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아직은 한두 차례 더 한파가 닥칠지 모르지만 입춘인 오늘은 날이 좀 풀린 것 같다. 매서움이 덜한 바람도 그렇지만 동지를 한 달 넘게 지난 햇빛도 고도가 높아진 만큼 더 가까워졌다. 그래서 그런지 겨울 철새인 청둥오리와 고니들의 분위기도 좀 달라 보인다. 이번 겨울엔 고니들이 지난해보다 많이 왔다. 다 모일 때는 50마리도 넘는 것 같다. 연간 수십 종의 동물이 멸종한다는데 이 들판을 찾은 고니의 수가 늘어난 것은 반가운 일이다. 적막하고 황량한 겨울 들판이 저들 때문에 소란하고 활기가 넘치기도 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국이나 암울한 정치적 현실에도 아직은 봄이 먼 것 같다. 입춘방(立春榜)이라도 써 붙이고 이 겨울이 빨리 지나가기를 빌고 싶은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하 지만 겨울이란 그저 참고 기다리기만 하는 계절은 아니다. 삼동의 혹한도 살고 입춘의 낌새도 사는 것이 겨울이다. 겨울이 지나가야 봄이 오는 것이 아니라 겨울을 살아야 봄이 되는 것이다. 겨울을 잘 사는 것이 무엇인지는 겨울들판에 나가보면 안다. 거기 얼어붙은 땅과 매운바람에 월동하는 풀과 새들은 봄을 기다리기 위해 오늘을 사는 게 아니다.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