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랍 13일 밤늦은 시간까지 포항중앙아트홀 전시실에는 훤하게 불이 밝혀져 있었다.
화가로서 절정의 기량을 꽃피울 무렵 안타깝게도 우리 곁을 떠난 이병우의 유작전(遺作展) 설치작업이 늦게까지 이어진 것이다. 밤 10시가 훌쩍 지난 늦은 시간이었지만 의미 있는 전시회를 정성껏 준비하던 포항미술협회장을 비롯한 회원 친구들이 디스플레이를 마치고 흐뭇한 마음으로 전시장을 한 바퀴 휘돌아 보던 중 포항문화재단 관계자로부터 전시장 폐쇄 통보를 받았다. 코로나 감염의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적용 단계의 전국적인 격상이 발표된 까닭이다. 그의 작품들은 그로부터 한 달이 넘는 기간 동안 불 꺼진 전시장의 컴컴한 벽면에 매달린 채 사랑하는 가족이며 친구, 선후배, 관람객들을 기다려왔다.
생전의 그는 늘 웃음 가득한 모습으로 주변의 어려움을 살피는 다정다감한 이웃이었고, 사랑으로 가르치는 멋쟁이 선생님이었으며, 미술협회장을 맡아서는 성심껏 봉사하는 사람으로 우리들의 가슴에 각인되어 있다. 동빈항과 죽도시장 등 지역의 소재를 화두로 독특한 작품세계를 펼쳐온 화가로 50년을 불꽃처럼 살다간 예술가이기도 하였던 그가 떠난 지 벌써 4년의 세월이 지났다. 병상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았던 그가 불귀의 길을 떠나기 며칠 전, 통증이 몹시 심하였을 상황에서도 그는 본인의 아픔이나 먼 길 떠날 걱정보다는 필자에게 포항 미술계의 미래를 염려하는 말을 하였다. 그와의 생애 마지막 약속, 이제 그를 작품으로 만나게 된다. 과연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긴 것일까.
‘등대처럼 살다간 화가 이병우’라는 타이틀이 붙은 유작전이 포항중앙아트홀에서 열리고 있다. 포항문화재단이 매년 지역의 우수작가를 선정하여 전시회 개최를 지원하고 있는데, 작고 화가의 전시기획은 이번이 처음이다. 코로나 사태의 확산으로 폐쇄되었던 전시장이 조건부로 개관이 허용되어 다시 열리게 된 것이다. 미망인은 이번 전시를 통해 큰 작품들은 공공기관에 기증하겠다는 의향을 밝혀왔다. 생전에도 그는 아내와 협의해 포항교육청에 여러 작품을 기증한 바 있다. 참 감사한 일이다. 이 전람회가 화가 이병우의 삶과 예술을 제대로 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그의 소중한 유작들이 고인과 미망인의 뜻대로 의미 있는 장소에 잘 보존되어 각박한 세상을 밝히는 부표가 되고 등대가 되기를 소망한다.
예술가들은 자존을 먹고 산다. 벌써 일 년이 훌쩍 지나버린 코로나사태는 여전히 앞날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생업조차 내려놓은 소상공인들과 자영업자들의 아픔에 비하면 문화 예술계의 어려움은 상대적으로 절박함이 덜할 것이라 생각하면 인식의 오류다. 예술인들은 예술활동이 바로 생업이며 예술이라는 ‘정신’과 생업이라는 ‘물질’의 간격 때문에 상공인들이 호황을 누릴 때도 어려움을 감내하여왔고, 지금은 더욱 절박하다. 다만 어려움의 눈물을 삼키고 내면에 천착하여 예술적 깊이를 더하며 인내할 뿐이다.
화가 이병우가 남긴 유작을 망라한 이번 전람회가 성황리에 개최되어 예술가들의 자존을 밝히는 또 하나의 등대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