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우리는 함께한다 고로 행복하다

등록일 2021-01-31 19:59 게재일 2021-02-01 18면
스크랩버튼
문가인<br>참마음심리상담센터 원장
문가인참마음심리상담센터 원장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온 세계를 떠돌아다니면서 사람들의 입과 손발을 묶어둔 지, 약 1년이 되어간다. 지금 생각해보면 사람들은 과학기술이 가져다준 문명의 이기를 활용하여, 여기저기 참 많이도 돌아다녔다. 북구에서 남극까지, 바다에서 하늘까지 사람들이 가지 못하고 만나지 못하는 사람이 없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그 모든 이동, 만남을 중지시킨 지 1년이 되어간다.

자연의 재앙 앞에서 인간은 한없이 나약해지면서 홀로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

그 홀로 있는 시간에 어떤 이는 공부를 시작하고, 어떤 이는 사랑을 하고, 어떤 이는 기도와 명상을 했으리라. 그러나 혹 어떤 이는 잠을 너무 많이 자거나 못 자기도 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멍하니 생각에 잠겨 있었을 수도 있었으리라. 즉, 생각에 또 생각을 더 하며 생각의 꼬리를 자르지 못했을 수도 있으리라. 생각이 너무 많아져서 생각 속에 빠져서 허우적대며 현실과 자신의 본성을 잊어가기 시작했을지도 모른다.

요즘 눈이 오는 날, 비가 오는 날, 바람 부는 날 나의 상담실에 와서 사람들은 말한다.

“생각이 멈추지 않아요.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어요. 벗어날 수가 없어요. 이러다가 이상한 사람이 되는 것 아닐까요?”

이런 생각 과다로 인한 심리적 고통의 호소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람들과 만남을 못 하게 하고, 혼자 있도록 한 이후 좀 더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가 생각된다.

홍자성의 ‘채근담’에는‘마음과 몸이 밝으면 어두운 곳에서도 푸른 하늘이 있고, 생각하는 머리가 어둡고 우매하면 환한 대낮에도 도깨비가 나온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 도깨비라는 것은 정신건강 용어로 ‘환청, 환시 등 환각을 말한다. 이 환각이란 조현병을 특징짓는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며, 심리적 부적응의 종착지에서 겪게 된다.

즉, 혼자 있고 생각이 많아지면 우울, 불안해지고, 더 심해지면 강박증이 되고, 조현병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증상들에 한 번도 노출된 적도 없고, 주변에 물어볼 정신건강전문가도 없는 경우, 그 충격은 상당히 클 수 있다. 실제 증상의 위험성에 비해 그 후폭풍이 더 커서 지혜로운 판단을 못 하게 된다면, 삶이 돌이킬 수 없는 방향으로도 흘러갈 수도 있다.

철학자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말로 생각의 중요성을 설파했지만, 그는 혼자 있으면서 생각을 너무 많이 한 결과로, 마음의 병이 올 수도 있음을 간과하지 않았는가 생각된다.

홀로 있는 사색의 시간도 필요하지만 어쩔 수 없이 그 시간이 길어지는 요즈음, 정신건강의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사람들의 정신건강의 회복을 위해서라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잦아들고 백신이 보급되어, 혼자가 아닌 둘이, 셋이 아닌 여럿이 함께 일하고, 밥 먹고, 노래하고, 춤추기를 바래본다.

‘우리는 여기 그리고 지금 함께한다. 고로 행복하다.’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