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강박증, 마음의 역설

등록일 2020-12-13 20:11 게재일 2020-12-14 18면
스크랩버튼
문가인<br>참마음심리상담센터 원장
문가인참마음심리상담센터 원장

강박증이라고 들어보았는가?

강박증이라는 단어는 평생 정신과 병원이나 심리상담센터를 가보지 않았어도 한 번쯤은 들어본 단어일 것이다. 강박증이라 함은 강박 사고(반복적인 사고)나 강박 행동(반복적인 행동)을 둘 다 지니고 있거나, 하나만 지니고 있어도 부적응이 심하면 진단되게 된다.

자신도 괴롭지만, 그 괴로움을 주변 사람에게 호소하면서 주변 사람도 당황하면서 괴로워하게 된다.

성인이 강박증을 지닌 경우도 괴롭지만, 성인은 그 증상에 어느 정도 적응되어 있어서, 일할 때는 잊고 있다가 잠을 자기 전이나 휴식할 때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정말 안타까운 마음이 들 때는 강박증을 지닌 아동을 만났을 때이다. 내가 이 글을 쓰게 된 것도 한 아동을 만난 것이 계기가 되었다. 강박증을 지닌 성인이나 강박증을 지닌 아동을 나는 꽤 많이 치료했다.

참 헛웃음이 나온다.

내가 대학원을 졸업하고 초보 심리학자 시절, 모 대학의 심리학과 교수님에게 강박증의 치료원리를 진심을 담아 물었다. 그는 대답을 회피했다. 그가 몰라서 회피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제 나는 그 교수님을 만나면 강박증이 무엇인지, 강박증의 치료원리가 무엇인지 한마디로 말해줄 수 있다.

나는 최근에 어떤 방탄소년단 같은 외모를 지닌 소년에 대한 강박증을 최면 상담했다. 그는 공부도 잘했고, 부모를 비롯하여 친구 및 선생님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있었다. 부모도 그를 사랑하고 그도 부모를 사랑하며 정말 완벽한 가정이었다. 그 소년은 코로나19가 창궐한 3월 어느 날 잠이 오지 않기 시작했다. 학교에 가서 공부도 하고, 친구와 놀고, 선생님과 대화하지 못하는 날이 지속되자 잠이 오지 않게 된 것이다.

그러다가 학교를 다시 나가게 되면 괜찮아지다가 어느 날은 원하지 않는 생각이 머릿속에 반복적으로 떠오르게 되었고, 부모님께 같은 질문을 하게 되는 그날이 왔다. 그 소년을 너무나 사랑하는 그 어머니는 대한민국의 모든 인터넷 사이트를 폭풍처럼 검색하였고, 간절히 기도하는 마음으로 지방에서 나를 찾아왔다.

그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의 어머니의 상상대로 되었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에게 그 비밀을 한가지 알려주겠다.

그 비밀은 마음의 역설(paradox of mind)이다. 나는 아동과 볼펜의 스프링을 가지고 실험을 했다. 스프링은 가볍게 누르면 가만히 있지만, 세게 누르면 높게 튀어 올라서 어딘가로 사라져버린다. 그 소년은 아하! 하고 고개를 끄덕였다. 이후 최면을 진행하였고 그 소년은 환한 미소를 나에게 선물하였다.

즉, 마음의 역설을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잠을 자려고 하면 더 잠이 안오고, 어떤 생각을 안하려고 하면 더 생각이 난다는 것이다. 강박사고를 지닌 사람이 가장 괴로워하는 것은 원하지 않는 침투사고가 계속 떠오르고 그것을 생각하지 않으려고 하다보니 더욱 생각나서 괴로워지게 된다는 것이다.

“강박증, 마음의 역설을 기억하라.”

“어떤 생각을 안 하려고 하면 더 생각나고, 그냥 내버려 두면 그 생각은 사라진다는 것을.”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