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계절이 뚜렷한 대한민국의 사람들은 크나큰 천혜를 누리고 산다. 봄의 꽃과 신록, 여름의 녹음, 가을의 단풍, 겨울의 설경은 우리나라 국민이면 누구나 무상으로 누릴 수 있는 혜택이고 축복이다. 연중 얼음에 덮인 극지방이나 상하의 열대지방, 불모의 사막지방에서 평생을 살아야 한다는 건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다.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되어있는 우리나라는 자연경관이 빼어나서 전국 어디나 말 그대로 산자수명한 금수강산이다. 그 중에서도 가을의 청명한 날씨와 단풍은 선계의 비경에 견주어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가을볕이 심사를 맡고/ 나무들 단풍잎 품평회 열렸다/ 누가 더 이쁜가 다투지 않고서야/ 저토록 고울 까닭이 뭐겠는가// 가을은 결실의 계절이고/ 열매를 위해서 잎은 있는 거라고/ 아는 체 하는 사람 있을까 몰라도/ 나무들 어디까지나 잎으로 산다// 또 한 해 무사히 잘 살았다고/ 한바탕 벌이는 잔치마당에/ 가을 하늘이 더 푸른 것은/ 울긋불긋 단풍잎 돋보이라고/ 그 배경이 되기 위해서다” - 졸시 ‘단풍잎 품평회’
기온이 내려가서 나뭇잎이 광합성 활동을 멈추면 엽록소의 자가분해가 진행된다. 그 과정에서 안토시안이 생성되는 종은 붉은색 또는 갈색 계열의 단풍이 들고, 안토시안이 생성되지 않는 종은 엽록소의 녹색에 가려 보이지 않던 잎 자체에 들어 있는 노란색 색소들이 나타나게 되어 노랑 단풍이 든다는 것이 과학적 설명이다. 그렇더라도 단풍이 그토록 고와야 하는 이유는 되지는 못한다. 그래서 가을마다 품평회를 열어 서로 미색을 다투고 자축하는 잔치를 벌인다는 게 내 생각이다. 여름내 광합성으로 뭇 생명의 양식을 생산하는 일에 전력을 다했으니 찬란한 풍악으로 한 해를 마무리하는 거라고.
“홍시가 있는가 쳐다보는데/ 감나무 이파리 하나 떨어진다/ 초록에서 빨강까지 곱게 채색된/ 윤기 자르르한 감잎 단풍// 감잎 단풍이 이렇게 고운 줄/ 오래 잊고 살았다/ 제각각 색이 다른 감잎이 고와/ 주워 모우기도 하던 시절로부터/ 나는 지금 어디만큼 와 있는가// 마당가에 늘 무심한 듯 서 있던 감나무/ 어디에 이토록 고운 마음이 깃들었을까/ 감나무가 건네주는 그림엽서 한 장/ 받아들고 내 마음이 온통 환하다“ - 졸시 ‘감잎 단풍’
곱디고운 감잎 단풍은 이 가을이 나에게 건네는 그림엽서이고, 그것을 받아든 나는 무심한 척 서 있던 감나무에 그토록 고운 마음이 깃들어 있었다는 것에 놀란다. 실로 살아있음을 감격스럽게 하는 단풍이고 가을이다.
“이 가을 한바탕 풍악(風樂)입니다/ 산천초목 자진모리로 타오릅니다// 퍼담을 수 없도록 햇살 넘치고/ 단풍도 풀꽃도 독한 주정(酒精)입니다// 고통은 썩으면 독(毒)이 되지만/ 발효하고 숙성하면 술이 됩니다/ 슬픔이란 이름의 술이 됩니다” - 졸시 ‘한잔의 가을’
잔치마당에 술이 없어서야 되겠는가. 눈부신 가을볕에 풀꽃도 단풍도 어찌 잘 익은 술이 아니랴. 가뭄과 태풍 같은 역경과 고통도 잘 삭이고 숙성하면 깊고 향기로운 술이 된다는 것, 그 술이란 찬란한 슬픔이기도 하다는 것. 인생 또한 그렇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