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살 무렵 소아마비를 앓는 바람에 왼쪽 다리를 못 쓰게 된 바이올리니스트 이작 펄만(Itzhak Perlman)은 10세에 첫 대중 연주회를 했으며 13세에 미국으로 건너가 줄리아드 음대의 문을 두드렸습니다. 19세에 레빈트릿콩쿨에서 우승해 명성이 절정에 달했는데 이는 보잘것 없는 외모에 장애인이라는 약점을 딛고 일어선 것이기에 더욱 의미 있는 일이었습니다.
1995년 11월 18일, 뉴욕 링컨센터(Lincoln Center) 에이버리피셔홀(Avery Fisher Hall)에서 열린 이작 펄만의 연주회 때 벌어진 일입니다.
연주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되어 마치 총소리처럼 ‘탕’하고 바이올린 줄 하나가 끊어졌습니다. 그 순간 예측을 뛰어넘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그가 바이올린을 바꾸거나 줄을 갈아 끼우지 않고 계속 연주한다는 신호를 보낸 것입니다.
바이올린 현 세줄로 교향곡 연주가 불가능함을 익히 잘 알았던 이작 펄만은 연주를 진행하는 동안 매 순간 즉석에서 편곡하고 다시 머리 속으로 음표를 그려가면서 작곡해 전에 들어보지 못한 완전히 새로운 음을 창조해 나갔습니다.
성공적으로 연주를 마친 후 애버리피셔홀은 경이에 찬 침묵에 사로잡혔습니다. 한동안 깊은 울림을 감당하기 어려웠던 청중은 오로지 침묵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지요. 긴 침묵이 끝나자 모든 청중들은 일제히 일어나 열광적인 박수를 보냈습니다.
이작 펄만은 만면에 미소를 머금은 채 땀을 닦으며 침착한 목소리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때로는 자신에게 남아있는 것을 갖고 아름다운 작품을 창조하는 것이 바로 예술가가 하는 일이지요.” 휴스턴 크로니클지가 보도하며 이 일은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매일의 삶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방법이 여기에 있습니다. 내게 남아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고 매 순간 그 자원을 편집하고 재창조하며 집중하는 일입니다.
/인문고전독서포럼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