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범죄와 정의의 차이

등록일 2018-05-18 21:20 게재일 2018-05-18 19면
스크랩버튼
▲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
▲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

‘사람이 호랑이를 죽이는 걸 스포츠라 하고 호랑이가 사람을 죽이는 걸 재앙이라 한다. 범죄와 정의의 차이도 이와 비슷하다.’ 영국의 극작가이자 평론가인 버나드 쇼가 한 말이다. 요즘 드루킹 사건을 보노라면 바로 이같은 범죄와 정의의 차이만큼이나 다른 눈높이와 다른 시각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게 된다. 드루킹 사건은 세계에서 인터넷망이 가장 발달한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일어날 수 밖에 없는 온라인 여론조작 사건으로 기록될 듯하다. 여야 합의로 세운 드루킹 특검이 얼마나 사건의 진실을 파헤칠 수 있을 지는 의문이긴 하지만 말이다.

어쨌든 드루킹 특검을 통해 더불어민주당 현직 의원이 ‘경공모’(경제공진화 모임)등의 사조직에 의뢰해 하루에 수 백 건 이상의 기사에 호의적인 댓글을 다는 작업을 조직적으로 했다는 사실이 입증된다면 현 정부는 여론조작이란 범죄행위로 상당한 도덕적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여론조작은 치명적인 범죄다. 국민의 뜻이 왜곡되고, 왜곡된 뜻에 따라 권력의 향방이 정해졌다면 어찌 큰 일이 아니겠는가.

드루킹 사건이 처음 시작될 때는 순수한 ‘자원 봉사자의 지원행위’에 불과했을 수 있다. 헌정 사상 이런 류의 사건이 벌어진 적이 없었고, 범죄로 구속되거나 처벌된 적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니 여론조작사건의 장본인인 드루킹 자신도 ‘문제는 있지만 뭐 그리 큰 죄가 될까’하는 마음을 품었던 게 아닐까 싶다. 이같은 인식의 차이는 얼마 전 방영된 ‘썰전’에 나온 유시민 전 장관과 나경원 의원간 토론에서도 적나라하게 볼 수 있었다. 유 전 장관은 그동안 객관적인 입장에서 진보진영을 대변해 왔는데, 이날은 드루킹 사건을 허구라는 주장으로 매우 편향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 자리에서 나경원 의원은 “드루킹 사건은 국정원 댓글사건보다도 더 무서운 사건”이라고 정의했다. 이어 “만약에 민주당이나 김경수 의원이 조직적으로 이 일에 연관이 돼 있었고, 지난 대선 당시 범행방법이 매크로를 사용한 불법행위였다면 그건 명백한 여론조작행위”라고 강조했다.

이에 맞서 유 전 장관은 “이런 게 바로 ‘3라면’ 논평”이라고 폄하하면서 “민주당 김경수 의원이 조직적으로 저지른 범행이라면, 드루킹에게 대가를 지급한 것이라면, 매크로를 이용한 것이 사실이라면 인데, 세 종류의 라면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 사항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서로 주장이 다른 만큼 그래서 특검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나 의원의 말에 유 전 장관은 시니컬하게 “한국당은 그러면 좋겠죠”라고 비웃었다. 그러나 드루킹 사건은 이미 보도된 내용만으로도 국민의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 김경수 의원이 ‘홍보해주세요’라고 하자 드루킹이 ‘처리하겠습니다’ 하는 등 시그널 메시지 30여건 대화를 추가확인했다는 언론보도만 봐도 김 의원의 드루킹과의 연관성은 부인하기 어려워보인다. 더구나 드루킹이 주도했던 ‘경공모’는 경선장마다 대규모 인원을 동원하고, 민주당의 온라인 대응활동을 자신들이 대신했다고 스스로를 소개한 바 있고, 회원들이 24시간 교대로 하루 700건 이상의 기사에 댓글을 다는 활동을 했다고 자랑하기도 했다.

드루킹에게 대가를 지급했느냐의 여부에 대해서는 드루킹 운영비가 연 11억원에 달해 경찰이 자금출처 추적중이라니 조금 더 지켜보면 알 수 있을 듯 하다. 매크로 조작이 이뤄졌는 지 여부도 경찰의 확인작업이 진행중이지만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온라인게임의 사냥과 아이템 확보, 아이돌 콘서트 공연이나 야구장 티켓 구매를 위해 암표시장에서 주로 쓰였던 매크로가 댓글 추천 등 정치적 목적을 위해 동원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때 누구에겐가는 정의로운 행동이었을 드루킹의 활동이 어느 순간 민주주의를 뒤흔드는 범죄로 바뀐 사태를 보며 버나드 쇼의 날카로운 통찰을 다시 한번 되짚어 보게 된다.

김진호의 是是非非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