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무술년 희망의 새해가 밝았다. 특히 올해는 대구·경북으로서는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이다. 그 중심에 대구통합공항 이전사업이 있다. 그러나 군공항만 이전하고 민간공항은 놔두어야 한다는 등 대구통합공항 이전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여전히 흘러나오고 있다. 하지만 대구·경북의 한계를 넘어 앞으로 100년 미래를 변화시킬 중요한 인프라가 될 이 사업은 해도 되고 안해도 되는 문제가 아니다. 대구·경북의 글로벌 접근성 확보를 통해 세계와 경쟁을 할 수 있는 발판인 대구통합공항이 빠른 시일 내에 건설되도록 대구·경북이 한마음 한뜻으로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중국은 오는 2030년까지 시진핑 국가 주석이 제창한 일대일로(一帶一路·육해상 실크로드 경제권) 구축을 위해 국내에 1천600개의 공항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공항 확대정책도 결국은 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로 이어지는 경제권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항공망을 확보하고 이를 해외로 확대시켜 나가겠다는 것이다
이처럼 글로벌시대가 되면서 세계 도시들은 도시의 명운을 걸고 앞다퉈 국제교류, 산업기술, 관광 등 인적·물적 자원을 대내외로 연결하는 접점인 허브공항 건설에 매진하고 있다. 이는 항공 인프라 없이는 세계시장으로 진출이 어렵고 기업유치, 관광객유치, 인적교류에 불리하다는 것을 이미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인데도 대구·경북의 글로벌 창구는 어떠한가? 유일한 국제공항인 대구공항은 2017년 이용객이 350만을 돌파했다. 이미 7기의 계류장은 포화 상태이다. 2천700m 정도의 활주로는 중형기밖에 취항하지 못한다. 그래서 기껏해야 일본, 중국, 동남아 일부 노선만이 취항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대구·경북은 이미 글로벌 도시와의 경쟁에서 한계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영남권신공항 무산으로 대구·경북은 세계와의 경쟁이 사실상 좌절됐다. 이후 대구통합공항 이전 확정으로 그나마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실낱같은 기회를 잡았다. 촛불정국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등 혼란한 정치상황과 예비후보지를 선정하고도 지역 일각에서 군공항 이전과 대구 민간공항 존치론을 들고 나오는 등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2월 21일 경북도청에서 대구시와 경북도, 군위군, 의성군 등 4개 지자체 단체장이 한 자리에 모여 통합공항 이전 후보지 조기선정을 위한 전문가위원회 구성과 공정한 선정기준과 절차 등을 마련한 뒤 이전 후보지를 최종결정하기로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어 12월 29일 대구시청 별관에서 권영진 대구시장과 김장주 경북도 행정부지사, 김주수 의성군수와 김영만 군위군수 등 4개 단체장이 모여 대구공항과 군 공항의 통합 이전 후보지 선정을 위한 41명의 전문가 위원회를 올 1월 31일까지 구성키로 했다. 비로소 대구통합공항 이전사업이 속도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지자체 간 적지 않은 시각차를 보이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대구시와 군위군은 6월 지방선거와 맞물리면 늦어질 우려가 있다며 설 연휴 전에 선정작업을 마무리하자는 입장인 반면 경북도와 의성군은 전문가위원회와 산하 소위원회 구성 문제 등을 들며 신중하자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위원회 구성 이후 통합공항 이전후보지 선정 평가방법과 절차 등을 논의하게 되는 2월 중순이면 광역단체장 예비후보 등록 등 6월 지방선거로 인해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연관된 통합공항 이전 후보지 선정 작업이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고 해도 대구·경북의 100년 미래가 걸린 이 사업을 더 이상 미적거릴 수 없다. 하루빨리 4개 지자체들이 손을 잡고 국방부의 협력을 끌어내 통합공항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대구통합공항 이전이 성공적으로 이뤄져 제대로 된 관문공항,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경제공항으로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