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간사를 맡고있는 이 의원은 이날 국감전략회의에서“GM(유전자변형) 작물의 개발이나 그 기술의 연구는 기존의 육종 기술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농업 현장의 미래를 극복할 수 있는 필수적인 기술이고, 작물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함으로써 미래농산업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첨단실용화 농업기술”이라며 “이런 국책 연구과제 연구에 매진하는`GM작물 개발사업단`이 올해로 해체되게 됐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사업단 해체 이유가 `반GMO 전북도민행동`이라는 시민단체의 활동으로 농촌 진흥청에서 지난 9월1일 이 단체를 비롯한 여러 시민단체들과 △농촌진흥청은 GM작물의 생산을 추진하지 않고 △2017년까지 GM작물 개발사업단을 해체한다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의원은 “반GMO 전북도민행동 대표의 성향을 보니까 농업인도 아니고, 과학인도 아니며, 그야말로 편향된 시각을 가진 시민단체인 민주노총 전북본부, 민중정치연합, 전국공무원노조 전북교육청지부, 전북녹색당 등에 소속된 사람들”이라며 “이런 사람들이 GMO 연구에 대해 무슨 대표성을 가지고 있고, 어떤 전문성을 갖고 있길래 협약을 통해서 국가 기관이 국책 연구에 범위나 기능을 제한하고, 심지어는 그동안 연구에 매진해온 개발사업단을 해체하겠다고 하느냐”고 질타했다.
농업진흥청은 지난 2011년부터 GM 관련 기술에 대해서 국책과제 일환으로 선정해서 GM작물 개발사업단을 선정하고, 연구에 매진해 50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자됐고, 100여건 이상의 관련 특허 기술도 만들었고, 상용화 전 단계인 81종의 육종 소재를 개발하는 성과도 있었다는 게 이 의원의 설명이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