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해오름동맹, 온천과 방산을 육성하자

등록일 2016-12-20 02:01 게재일 2016-12-20 18면
스크랩버튼
▲ 김진홍<br /><br />한국은행 기획조사팀장
▲ 김진홍 한국은행 기획조사팀장

포항시 등 경북동해안의 각 지자체들은 지역경기의 부진을 탈피할 수 있는 신성장동력 발굴에 사활을 걸고 다양한 정책조합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신성장동력이라는 것이 발굴 즉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어쩌면 우리는 항상 새로운 것의 발굴에만 신경을 쓰느라 정작 가지고 있는 중요한 자원을 놓치고 시간만 허비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 의미에서 경북동해안 5개 시군이 모두 갖고 있고, 경상북도나 전국과 비교하더라도 손색이 없는 온천이라는 자원은 재조명해볼 가치가 크다고 본다.

최근 글로벌 관광트렌드는 종전의 관광이 아니라 방문지에서 체류하면서 현대인의 정신적 피로회복과 건강, 치유, 힐링까지 포괄하는 이른바 웰니스(Wellness)관광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세계의 웰니스관광 시장규모는 2012년 4천390억달러로 관광산업 전체의 14%를 차지하며 2012년부터 2017년까지는 연평균 9.1%의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와 같은 웰니스관광의 핵심이 바로 온천인 것이다. 최근 일본, 태국 등 아시아 주요국들이 온천자원과 메디컬 투어 등 다양성을 확보한 웰니스관광 활성화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경북동해안은 전국 최대의 온천 보유지인 경상북도 내에서도 최대규모인 34개 온천과 48개 시설이용업소를 지닌 최대의 온천 분포지역이다. 그만큼 웰니스관광분야에서의 성장잠재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지금의 온천자원이 신성장동력으로 작동하기까지 해결과제도 적지 않을 것이다. 먼저, 각지에 흩어져 연계하기 어려운 온천 자원의 약점을 웰니스관광이 갖추어야할 의료, 치유 관련 시설과 연계한 공동프로모션이 중요하다. 또한 기존 온천시설의 낙후성, 소규모 영세성의 한계 극복을 위해서는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상의 환동해권 글로벌 관광거점 구축사업에 온천개발사업도 포함시켜 관광정책을 체계적으로 공동 추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온천자원의 재발견만으로 지금의 위기상황을 모두 해결하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러한 의미에서 얼마전 동해안 3개 도시(울산, 포항, 경주)가 해오름동맹을 출범시킨 것은 모두에게 새로운 기회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6월 말 현재 해오름동맹의 총인구는 전국의 3.8%(195만명)에 불과하지만 GRDP(지역내총생산, 2013년)는 94.6조원으로 GDP(국내총생산)의 6.6%에 달한다.

특히 제조부문은 16개 광역지자체 중 근로자수(23.5만명) 5위, 출하액(254.4조원) 2위, 부가가치 생산액(52.8조원) 3위로 상위권이다. 특히 구매력의 기반인 제조업체 근로자 급여총액(12.6조원)도 3위여서 해오름동맹의 협력 정도에 따라서는 권역 내의 경제적 순환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이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3개 지역에 공통된 경제적 이득을 창출할 수 있는 협력 프로젝트의 발굴이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포항의 철강소재와 R&D기반, 경주의 부품제조 기반, 울산의 중공업제조 기반 등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방위산업의 육성도 공동프로젝트로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해오름동맹 권역 내에 방위산업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조성, 추진하기 위해서는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마련하는 등 공동발전 로드맵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 먼저, 3개 지역의 추진주체가 바뀌더라도 지속 추진할 수 있는 체제가 확립되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핵심 사업별로 주민합의와 함께 조례 제정 등으로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련 R&D 투자재원의 확보를 위해 `해오름동맹 연구개발특구(가칭)`의 지정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도시간 네트워크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광역순환셔틀버스 등 교통망의 확충 등을 실질적으로`해오름동맹생활경제권(가칭)`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