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총선에서 충격적인 참패로 원내제1당의 지위마저 야당에 내준 새누리당이 복당논란으로 야단법석이다.
총선 직후에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에서 일괄복당을 허용하자는 결론을 내렸지만 안상수 당선인에 이어 막말파문으로 새누리당 총선참패에 상당한 부담을 주었던 윤상현 당선인이 복당신청을 하자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일괄복당이 적절하냐`는 의문이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뒤이어 유승민 당선인 역시 지난 일 복당신청을 해 논란은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그래서 `선별복당`, `시차복당`이란 말까지 나왔다. 정작 복당해도 큰 부담이 없을 주호영 의원의 경우는 “최고위원회가 사과를 하면 복당하겠다”고 `조건부 복당`을 천명하고 나서는 지경에 이르렀다.
새누리당이 122석을 얻어 더민주의 123석에 이어 원내제2당이 될 것이라고는 아무도 짐작치못했기에 일어나는 헤프닝이다. 물론 지금도 11석의 무소속 의원 가운데 7석의 새누리당 탈당파 무소속 의원을 복당시키면 원내제1당의 지위를 유지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복당 논란의 핵심은 바로 탈당한 의원을 일괄 복당시키는 게 과연 옳으냐 하는 문제다. 특히 `배신의 정치`로 낙인찍힌 후 당 정체성 위배 논란에 휩싸였던 유승민 의원과 김무성 전 대표를 겨냥한 `막말 파동`을 일으켜 공천탈락했으나 인천남구을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윤상현 의원의 복당문제가 최대 관심사다. 이에 대해서는 친박계나 비박계의 반대 기류가 완전히 가라앉지 않은 상황이다. 그래도 새누리당이 위기상황인 만큼 친박계나 비박계 의원 모두 차츰 일괄복당쪽으로 방향을 잡아가고 있는 듯 하다.
친박계 의원들이 총선참패의 책임론을 의식, 발언을 자제하고 있는 가운데 김무성 전 당대표의 측근인 김성태 의원은 21일 방송에 출연, “복당 신청을 한 의원들은 정정당당히 싸울 기회를 받지 못하고 쫓겨나서 어쩔 수 없이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것”이라면서 “억울한 분들은 하루라도 빨리 받아들이는 것이 국민 정서에 부합한다”고 지적했다. 비박계인 새누리당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도 이날 오전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유승민, 윤상현 의원의 복당이 급선무”라면서 “당이 위기에 처해 있기 때문에 공천 결과의 잘잘못을 떠나서 무소속으로 나왔던 분들을 받아주고 빨리 당을 추슬러야 한다”고 밝혔다.
지금 분위기대로라면 복당논란의 불씨가 잦아들면서 일괄복당으로 결론나는 모양새다. 그러나 같은 날 친박계 핵심인 유기준 의원은 “새누리당을 원내 제2당으로 만든 국민의 뜻이 있는데, 무소속 당선자들을 인위적으로 복당을 시키는 것이 국민의 뜻에 맞는 것인지 의논이 필요하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일괄복당이 과연 국민의 뜻이냐는 물음에 좀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사실 새누리당의 복당논란은 조만간 벌어질 권력투쟁의 서막에 불과하다. 새누리당이 총선에서 참패한 것이 견고한 지역주의 판도에 편승해 오만한 자세로 공천했던 탓에 새누리당의 텃밭인 대구지역에서 4석의 야권 및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이 일어났을 뿐 아니라 수도권에서의 민심이탈이 가속화됐다는 분석이 나와있는 상태다. 한마디로 새누리당의, 국민을 두려워하지 않는 오만한 행태를 심판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위기의 새누리당이 복당논란에 대한 결론을 어떻게 내려야 할까에 대한 답도 명확하다. 이 순간부터라도 국민을 두려워하는 정치를 시작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새누리당 공천파동의 피해자로 자리매김한 유승민 의원의 경우와는 달리 지역구에서 당선됐다해도 당 대표에 대한 막말 파문으로 새누리당 전체에 크나큰 이미지 손상을 입힌 윤상현 의원같은 인사를 복당시키는 결정을 내려선 안된다. 가뜩이나 오만한 이미지로 표를 잃은 새누리당에 `당 대표도 우습게 아는` 정치인을 복당시키는 것은 자충수가 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