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널뛰기 여론조사

등록일 2016-04-08 02:01 게재일 2016-04-08 19면
스크랩버튼
▲ 김진호 서울취재본부장
▲ 김진호 서울취재본부장

4·13 총선을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가 1천건을 돌파했다고 한다. 2014년 6·4 지방선거 당시의 816건에 비해 30% 가까이 늘어났다니 `여론조사 공해`가 심각하다는 말이 실감날 정도다.

여론조사는 선거 때마다 유권자의 표심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돼 왔다. 문제는 선거판세를 가늠해보기 위한 언론사들의 여론조사가 잇따라 실시되고 있지만 여론조사마다 차이가 커서 유권자들을 오히려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구·경북지역에서 대표적인 사례는 대구 수성을 선거판세 여론조사다. 모 지역언론사가 지난 3월 29·30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선 주호영 38.9%, 이인선 25.9%로 주 후보가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이 후보를 13.4%p 오차범위 밖으로 앞선 것으로 보도했으며, 4일 조사에서는 무소속 주호영 후보가 44.0%의 지지도를 기록해 36.4%를 얻은 새누리당 이인선 후보를 7.6%p 차이로 앞서 격차가 줄어들었다고 보도했다. 이 조사결과대로라면 박빙의 승부가 예상된다. 그러나 다른 언론사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지지율 차이가 확연히 달랐다. YTN이 7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는 무소속으로 나선 주호영 후보가 47.5%, 새누리당 이인선 후보가 25.8%로 21.7%p까지 벌어졌다. 이날 중앙일보는 주호영 41.2%, 이인선 26.2%, 동아일보는 주호영 40.4%, 이인선 후보는 26.9%로 발표했다. 이인선 후보의 지지율이 25% 언저리에 머물고 있는 반면 주호영 후보는 40~45%를 오르내리는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니 형세판단이 아예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이처럼 같은 기간에 조사한 언론사들의 여론조사 결과가 판이하게 다른 이유에 대해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여러 해석을 내놓고 있다. 가장 먼저 여론조사의 객관성과 신뢰성은 모집단을 반영하는 표본추출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설문항목이 잘 설계돼 있는지, 어떤 조사기법을 사용했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무엇보다 가정마다 유선전화를 두지 않고 휴대전화만을 사용하는 추세에 반해 대부분의 여론조사가 유선전화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큰 한계다. 현행 공직선거법상 `휴대전화 안심번호`를 활용한 여론조사는 정당만 할 수 있게 돼 있다. 여론 조사의 수요는 높지만 제도적 한계가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여론조사 결과가 유선전화를 많이 쓰는 중장년층에 치우칠 수밖에 없고, 상대적으로 휴대전화 활용도가 높은 젊은 유권자의 여론은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법적으로 정당의 경선조사나 정책용 조사로만 쓸 수 있다고 명시돼 있는 안심번호를 언론사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여론조사 방식에 따른 정확도 차이도 문제가 된다. 각종 언론에서 하는 여론조사는 대부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유선전화로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을 채택하는데, 이는 면접조사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게 통설이다. 실제 여의도연구원에서 안심번호를 도입해서 한 여론조사 결과와는 상당히 큰 차이가 난다고 한다. 즉, 유선전화 여론조사의 경우 지난 19대 총선 때를 비춰보면 새누리당 후보 지지도는 영남은 5% 포인트, 수도권은 15~20% 포인트까지 감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또 여론조사는 실제 투표율과 차이가 난다. 여론조사는 이론상 100% 투표율을 전제로 하지만 지난 19대 총선 투표율은 54%에 불과했다. 그리고 성별, 연령별 투표율도 차이가 난다. 2030세대 투표율은 5060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그래서 여론조사는 실제 투표 결과와 당연히 차이가 난다. 이런저런 이유로 여론조사가 널뛰기를 해도 여론조사는 나름의 의미가 있다. 여론 변화의 추이라고 이해하면 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공직선거법상 7일부터 투표마감때까지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할 수 없는 기간이 시작된 만큼 새누리당 일색인 대구·경북지역 선거판세가 여론조사에 나타난 변화 그대로 이어질지 지켜보는 것도 주요 관전포인트다.

김진호의 是是非非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