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 이전부지 어떻게…<Br>행정타운 건설 등 의견 다양<Br>특별개정안 지지부진 `난항`<BR>대구시 주도적 참여해야
경북도청이 안동·예천 신도시로 이전함에 따라 대구시는 경북도청 이전부지에 대구 발전을 위해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에 대한 과제를 안게 됐다.
특히, 도청 이전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경북도청 후적지 개발계획은 아직 밑그림조차 확정되지 않아 도청 인근의 상권이 위축되면서 동네가 쇠락하는 등 공동화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경북도청 이전이 마무리되고 경북도교육청, 경북지방경찰청 또는 산하기관 51개소도 차례로 안동·예천 신도시로 옮겨가게 되면 경북도청 후적지 일대는 상권침체 등 후유증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그동안 대구시는 경북도청 이전을 앞두고 도청 이전부지 개발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해왔다. 2011년 대구·경북연구원이 수행한 연구용역 결과에는 인류학·자연사박물관과 산업·기술·문화공간 조성 등이 방안으로 제기됐으나 시민들로부터 공감을 얻지 못했으며, 지난해에 국토연구원을 통해 ICT 기반 창업보육 인재양성의 거점공간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마련했으나 옛 제일모직 터에 조성되는 대구삼성창조경제단지와 기능이 중복돼 사실상 백지화됐다.
최근에는 행정타운을 만들자는 안과 지식기반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 등을 중심축으로 하는 창조파크 또는 창조벤처ICT파크를 조성해 첨단산업 거점으로 만들자는 안과 일자리컨트롤타워와 창업직업학교 및 창업실험 공간, 예술인 육성 공간 등 3대 기능으로 활용하자는 안, 청년 창업과 취업활성화센터 및 문화역량 확대공간으로 육성하자는 방안 등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대구시가 기대하고 있던 도청이전특별법 개정안이 지지부진해 대구시가 주도적으로 추진하려고 했던 도청 후적지 개발이 난항에 부딪쳤다.
경북도청 후적지 개발은 국가가 부지매입비용을 부담하고 장기개발 방안에 대한 용역도 하도록 되어 있어 대구시가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없는 실정이다. 게다가 예산지원 권한을 가지고 있는 기획재정부와 소관 부처인 국토교통부에서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고 개정안 역시 3개월째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도청 후적지 개발은 당장 사업을 시작한다 해도 2020년은 돼야 완성될 것으로 보여 도청 이전과 후적지 개발 완료 때까지의 시차 때문에 주변지역 상권침체 등 후유증이 불가피하다.
이에 대구시는 단기적으로 도 청사에는 시청 통합별관으로 임시 활용하기 위한 임시이전비용 30억원을 확보했고 교육청 청사에는 국가 및 지자체 출연 R&D센터 등을 유치했으며, 시설물 안전진단 및 사무실 공간 재조정 등을 통해 6월 중 별관부서 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동화빌딩과 호수빌딩 등 4곳으로 흩어져 있는 부서들을 한 곳으로 모음으로써 직원 간 소통 및 협업을 통해 행정 효율화는 물론 도청 후적지의 장기간 공백에 따른 주변지역의 슬럼화 예방 등 도시기능 관리 측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대구시는 도청 이전부지를 향후 대구 발전의 핵심적인 한 축으로 역할을 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개발방안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거나 대구시가 원하는 개발 방향으로 나가도록 긴밀하게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대구시 도청이전터개발추진단 심재균 단장은 “경북도청 이전부지의 활용방안과 관련해 올해 5월 이후부터 시민원탁회의, 전문가 토론회 등을 통해 시민, 전문가, 시의회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면서 “이렇게 수렴된 의견을 정부용역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