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설치작가 안정주 전<BR> 대구봉산문화회관 내달 27일까지
대구 봉산문화회관의 대표적 기획시리즈전인 `기억공작소`의 다섯번째 작가로 영상 설치작가 안정주 전이 내달 27일까지 열린다. 안정주는 2014년 제5회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작가로, 소리와 이미지를 연결, 반복, 변형하면서 새로운 의미를 만드는 영상작품 3점, `Smoking`과 `Fishing`, `Cro ssing`을 선보인다. 2007년 핀란드에서 제작한 이 3편은 2분30초 정도 간격으로 연속해 반복 재생된다.
전시장 입구 벽에 걸린 사진 1점, 일부 형태들을 오려낸 브뤼셀의 독립문 기념사진이다. 어린 시절의 종이인형 오리기가 떠오르기는 하지만, 작가의 의도를 쉽게 읽기는 어렵다. 오려낸 공간을 채우는 할로겐 빛의 그림자가 무심하게 매력적으로 보이고, 오랫동안 그리고 자세히 보면 그 오려낸 모양이 자동차와 나무, 깃발, 사람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 그것이 소리를 내는 것들의 이미지이고, 전시장 안쪽에는 비디오 영상 속 한 장면의 사진을 같은 의도로 오려낸 작업이 3점 더 있다는 사실을 조금 후에야 알게 된다.
<위 사진> 안쪽 벽면의 영상에는, 담배를 피우려고 베란다에 나온 흰 셔츠 차림 남자의 움직임이 보인다. 붉은색 벽을 배경으로 담배를 피우는 화면 속 인물의 호흡과 미세한 움직임에 덧씌워진 소리는 `만지작 만지작`, `피~후`, `물끄럼`, `풀석` 등 상황에 잘 일치하지만, 원래 현실의 소리가 아닌 사람의 입으로 내는 소리들이다. 조금은 어설프고 웃음이 새나오는 이 한국말 립싱크는 무심한 일상 행위들에 집중하도록 이끄는 묘한 매력이 있다.
다리 위에서 낚시를 하는 이미지에 결합시킨 립싱크, 도로를 횡단하는 사람들과 주변 광경을 담은 이미지를 립싱크한 영상을 보면서 우리는 이미지에 가려 보지 못했던 소리의 존재를 눈여겨보게 된다.
뒤돌아 보이는 반대편 벽에는 가운데 모니터와 좌우로 3점의 사진이 전시돼 있다. 모니터에는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은 유럽의 유명 관광지와 그곳을 방문한 사람들을 촬영한 영상이 재생되고 있다.
그곳은 의미심장한 역사 현장의 기념비적인 건축물, `문`이 있는 장소다. 그러나 지나치는 사람의 행동과 주변 움직임의 소리는 유쾌 발랄, 생기 있다.
화면을 가로지르는 자동차 소리, 단체 여행자의 감탄사, 카메라 셔터 소리, 바쁜 발걸음 소리, 깃발의 무심한 펄럭임과 나뭇잎의 마찰 소리 등은 가볍게 스치는 일상 풍경의 소리들이며 사람의 입으로 내는 소리다.
베를린, 브뤼셀, 마드리드, 파리, 인스브루크, 로마 등지의 역사적 건축물을 각각 촬영한 6편의 영상은 연속적으로 반복되며, 작가는 이 비디오 영상에서 그 장소 원래의 현장 소리를 모두 제거하고, 촬영한 지역의 국가 출신 참여자들의 언어와 목소리로 화면 속의 움직이는 대상을 묘사하는 립싱크로 `Harmony`를 보여준다.
<아래 사진> 안정주 작가는 친숙한 비디오 영상 이미지 위에 새롭게 가공된 소리를 덧입히는 자신의 작업에서 소리 자체는 지극히 일상적이지만, 오히려 현실의 내러티브를 깨고 사라지게 하거나 인공적인 현실로 그 자리를 대체해 세상의 어딘가에 가려져 소외돼 있을지 모르는 소리를 발견 해내려는 시도를 지속해왔다. 소리가 가진 속성을 확장하고 영상의 의미를 극대화시키려는 그의 작품의 매력은 침묵을 관찰하고 소리의 가치에 대해 주목하며, 언어와 소리가 가지는 문화적 소통과 단절 등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해준다.
/윤희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