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쉬운 수능` 전략 난감

이창훈기자
등록일 2015-11-13 02:01 게재일 2015-11-13 1면
스크랩버튼
국어·수학 작년보다 어렵다 평가에<BR>최상위권 변별력 잣대 미흡 시각도<BR> 과학탐구·선택과목 당락 변수 될수도
▲ 2016학년도 대입 수능이 치러진 12일 오후 포항 유성여고에서 시험을 마친 수험생들이 그동안 어깨를 짓눌렀던 부담감을 털어버린 듯 어깨춤을 덩실거리며 고사장을 빠져나오고 있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12일 치러진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비교적 쉽게 출제됐다. 지난해에 비해 국어와 수학은 다소 어렵게 출제돼 체감 난이도는 높아졌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지만, 최상위권 학생들의 변별력 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또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눈치작전도 반복될 것으로 예측됐다.

<관련기사 4·6·16면> 이준식 출제위원장(성균관대 교수)은 “전년도와 동일한 출제기조를 유지하려 했고 지난 6월과 9월 2차례의 모의평가 수준으로 출제했다”면서 “70% 수준에서 EBS 수능교재 및 강의내용을 연계했다”고 밝혔다.

입시 전문가들은 대체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출제됐다는 평가다. 지난해 수능과 비교해 국어A형은 비슷하고, 지난해 난이도가 높았던 국어B형은 쉽게 출제됐다. 그러나, 9월 모의평가에 비해서는 어렵게 출제된 것이다. 수학A형은 지난해 수능 및 9월 모의평가에 비해 약간 어렵게 출제됐고, 지난해 만점을 받아야 1등급 이었던 수학B형도 비슷한 난이도로 출제됐다. 영어도 지난해와 유사한 난이도였던 것으로 이야기된다.

국어, 수학, 영어를 통한 변별력은 지난해에 비해 다소 높아졌지만, 여전히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의 비중은 높을 전망이다. 전체적인 난이도를 종합하면 인문계는 수학 A형이, 자연계는 과학탐구가 당락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되고 선택과목에 따라서 유불리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영역별 EBS 연계율은 국어 A형 71.1%, 국어 B형 71.1%, 수학 A형 70.0%, 수학 B형 70.0%, 영어 73.3%, 사회탐구 70.0%, 과학탐구 70.0%, 직업탐구 70.0%, 제2외국어·한문 70.0% 등이다.

교육당국은 EBS 교재 활용도를 높여 사교육을 막는다는 취지로 EBS 교재와 수능문항의 연계율을 꾸준히 높여왔으며, 교육부는 지난 2013년 10월 대입전형 `3년 예고제`에 따라 2017학년도까지 연계율을 70%로 유지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시험에는 재학생 48만2천54명, 졸업생 14만9천133명 등 총 63만1천187명이 응시했다.

수능출제를 담당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시험이 끝난 직후부터 오는 16일 오후 6시까지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아 심사한 뒤 23일 오후 5시 최종 정답을 발표할 예정이다. 수능 성적은 다음달 2일 수험생에게 통보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비교적 수능이 쉬워졌다는 평가라 정시모집 합격선을 예상하기가 어려워졌고 수험생들은 이미 원서를 낸 수시모집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일단 가채점을 정확하게 해 예상점수와 예상등급을 확인하고 정시에 어느 대학을 갈 수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대구 송원학원 차상로 진학실장은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수시모집 논술고사 참가여부를 결정하고 참가를 하게 된다면 지망 대학의 논술고사 준비에 최선을 다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미 발표된 대학별 정시모집 요강을 통해 영역별 반영 비율 등을 분석해 정시 지원 전략을 꼼꼼하게 세워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창훈기자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