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줄이기(하)
65세 이상 고령자 대상 자전거 교통법규 교육 필요
고속도로 사망자 40%는 졸음운전이 원인 드러나
최근 간소화된 운전면허 취득 문제점도 보완해야
□어린이·자전거 사고 적극 예방해야
교통사고 원인이 운전자와 보행자에 있듯이 예방책에도 이들과 함께 지자체와 정부, 경찰 등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부분으로 나뉜다.
보행자의 경우는 가장 기본적이지만 우선 도로를 건널 때 신호등과 좌우살피기만 습관화 된다면 교통사고의 많은 부분을 줄일 수 있고 겨울철이나 밤에 움직여야 할 때에는 더 밝은 색상의 옷을 입어 운전자의 시야에 띄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 어린이 교통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어린이들에 대한 교통 안전교육 강화와 함께 전체 사고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도로주변에서 놀지 않기` 등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알려야 한다.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에는 정부와 지자체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 예산지원 등을 포함하는 적극적인 방법을 동원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와 유치원 어린이집 등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 구역에 대한 지자체와 경찰의 지속적이고도 꾸준한 단속을 통해 운전자의 법규 위반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도 미래의 자산이자 희망인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첩경이라는 것이 교통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최근 들어 늘어나는 자전거와 관련해서는 자전거에 탄 채로 건널목을 건너지 말고 건널목을 건널 때는 반드시 내려서 끌고 건너기, 도로로 다니지 말고 자전거 전용도로나 인도로 운행하기 등이 필요하다.
어린이에게 자전거를 사줄 때는 그냥 사 줄 것이 아니라 `자전거 안전장치에 이상이 없는지`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는 장소 및 타서는 되지 않는 장소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심지어 2013년도 도로교통공단 통계분석 자료에 따르면 자전거 운전자 중 사망자는 남성이 87%, 65세 이상 고령자가 56.2%이고 주로 머리충격 사망자가 77.2%로 조사됐다.
고령화가 진행되는 상황을 감안해 60세 이상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자전거 교통법규 및 사고유형, 안전하게 자전거 타는 법 등의 교육도 지자체 차원에서 실시돼야 할 시점이다.
대구지역의 경우 최근 들어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자전거가 주목받고 신천, 금호강, 낙동강 자전거길 연계를 비롯한 도시철도 자전거 무료대여 및 전동차 내 자전거 휴대승차 확대 등 자전거이용환경이 크게 개선되면서 자전거 이용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자전거 관련 교통사고가 늘어나고 있다.
이어 각진길이나 도로 또는 건널목 건널 때 차가 잘 멈추는지, 갑자기 오는 차는 없는지 살피고 신호등이 있다면 초록불이 켜지고 나서 왼쪽을 보고 차가 멈춘 것을 확인한 후 건넌다.
손을 드는 것은 창피한 일이 절대 아니며 운전자가 볼 수 있기 위한 교통사고 예방에 하나이다.
또 녹색 신호가 깜박일 때는 절대 건너가지 말고, 건널 때는 뛰지 않으며 신호등이 없다면 가까운 육교나 지하도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골목에서 차가 다니는 길로 나올 때는 먼저 차나 오토바이, 자전거 등이 오지 않는지 앞뒤 좌우를 살피는 것도 자신을 교통사고에서 방어하는 습관에 속한다.
□운전자 잘못된 운전습관 개선을
교통사고 원인의 대부분은 운전자의 여러 가지 잘못된 운전 습관에 기인한다.
특히 안전운전 불이행과 신호위반, 교차로 운행방법위반, 중앙선침범, 안전거리 미확보 등은 전체 교통사고의 8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것만 지키더라도 교통사고 예방은 대부분이라고 할 정도다.
또 보행자 보호의무, 부당한 회전, 직진우회전 진행방해, 과속, 앞지르기 금지위반, 차선위반과 운전 중 휴대폰 통화, 졸음운전, 음주운전, 양보운전, 교통표지판 숙지 운전, 신호등 지키기 등의 운전습관만 생활해도 교통사고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신호위반사고와 중앙선침범사고는 하루에 15명이 목숨을 잃을 정도로 위험하고 특히 사망사고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신호위반과 중앙선침범은 운전자들이 무의식 중에 의식적으로 의도와 판단착오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운전습관을 고착화하는 것이 본인과 타인의 생명을 지키는 길이다.
한 두 번 신호위반과 중앙선 침범을 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이 같은 일이 운전습관으로 굳어져 버리는 것이 운전자의 공통된 경험이다.
가장 많은 위반이 황색 신호가 들어오면 정지하지 않고 최대한 빨리 통과하려는 운전습관이 바로 그것이다.
대형사고의 41%는 중앙선 침범사고가 차지한다.
중앙선 침범사고의 대부분은 놀랍게도 졸음운전이 원인으로 운전자 10명 중 3명이 경험하고 있다는 것이 통계로 나와 있을 정도다.
최근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가 490명 중 40% 약 200명이 졸음운전 때문에 목숨을 잃기 때문에 운전자는 차량 창문을 조금 열어 실내 환기에 항상 신경을 써야 한다.
또 2~3시간 운전마다 차에서 내려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운행하는 습관을 길러야 졸음운전을 피할 수 있다.
요즘 고속도로 휴게소 대부분에는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피하도록 수면방을 설치해 놓았고 고속도로 곳곳에 졸음 쉼터까지 마련돼 있어 졸리면 무조건 이곳을 이용해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운전자는 주행 시 항상 시야를 확보하며 안전거리를 준수해야 하는 것으로 운전면허 때 배웠다.
하지만, 운행을 하면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자동차의 속도와 앞차와의 간격이 같아야 급한 상황이 발생해 브레이크를 밟아도 정지 후 교통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망각하기 일쑤다.
자동차가 시속 100㎞로 달릴 때 앞차와 100m 간격, 50㎞일 때 50m 간격이라는 점을 알지만 이를 지키는 운전자가 적은 수이고 심지어 뒤차에서 클랙슨을 울리며 빨리 가자고 재촉하는 경우까지 발생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운전자 대부분이 너무나 잘 아는 사실이지만 이미 습관으로 굳어진 운전자의 습성을 하루아침에 고치기는 어렵다.
결국, 운전자의 잘못된 습관은 지자체나 정부, 경찰 등이 나서서 강력한 단속을 펼쳐야만 안전운전 습관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증명된 바 있다.
□정부 강력한 법 제정·단속 시급
정부는 운전자들이 기본적인 교통법규를 지키지 않을 경우 엄격한 처벌을 받도록 법 제정을 서둘러야 하고 지자체와 경찰 등은 이를 바탕으로 강력한 단속을 통해 이 법규가 지켜지도록 해야 한다.
정부의 교통사고 없는 대한민국 만들기 실천대회처럼 각종 행사를 통해 국민의 교통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야 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사고 다발지역 지도를 통한 점검 등도 필요하다.
필요하다면 미국 메릴랜드 주처럼 음주운전과 안전띠 미착용 등 각종 법규 위반에 대한 함정단속이나 미끼단속이라도 실시해야 하며 음주운전은 법정 최고형이 선고되도록 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유동인구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교통시설을 지닌 미국 테네시 주는 어린이와 유아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차량내 보호장구 착용을 의무화하는 등 미래의 주인공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특히 최근 간소화된 한국의 운전면허 취득도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중국인이 한국에 운전면허 취득을 위해 대거 원정까지 오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 이제 운전은 아무나 쉽게 획득할 수 있다는 분위기로 흐르고 있을 정도다.
기존 운전자의 분위기 쇄신과 운전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라도 정부 당국은 보다 까다로운 면허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교통관계자들은 밝히고 있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