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류성호 교수팀, 핵산물질 최초 발견<bR>신개념 당뇨병 치료제… 위험 부작용 줄여
당뇨 치료 부작용의 위험성을 낮춘 새로운 인슐린 대체 핵산물질이 포스텍과 카롤린스카연구소 공동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포스텍 생명과학과 류성호 교수, 시스템생명공학부 윤나오 연구원,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퍼올로프 베르그렌 교수 연구팀은 핵산물질인 압타머(Aptamer)를 이용해 당뇨병 치료제가 될 수 있는 새로운 인슐린 수용체 기능조절제를 개발키 위한 연구를 수행, 이 결과물을 핵산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뉴클레익 액시드 리서치(Nucleic Acids Research)지 온라인판에 지난 5일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의 수치가 높은 상태로 오랫동안 유지되는 대사성 질환으로 전 세계 약 3억명, 국내에만 약 350만명이 고통 받는 위험한 성인병으로 이들 환자의 혈당을 조절키 위해 사용해온 인슐린은 세포증식을 과도하게 촉진시켜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그러나 인슐린 투여에 의한 세포증식 촉진은 현재까지 통제할 방법이 없었다.
연구팀은 생쥐 실험을 통해 인슐린 투여에 의한 세포증식 촉진은 IR-A48이라는 핵산물질이 체내에서 인슐린처럼 혈당을 효과적으로 낮추지만 세포증식은 시키지 않음을 확인했다.
IR-A48은 인슐린수용체에서 인슐린과 다른 위치에 결합하며, 인슐린과는 달리 각종 세포 증식을 유도하는 IGF-1 수용체에는 결합하지 않는다.
이런 선택적 활성화로 혈당을 낮추는 기능은 유지되지만 세포를 증식시키는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로써 연구팀은 혈당을 효과적으로 낮추지만 인슐린과는 달리 세포분열은 촉진시키지 않는 압타머 IR-A48을 최초로 발굴해 부작용 위험을 낮춘 신개념 당뇨병 치료제 개발의 새 장을 열었다. 특히 압타머를 이용해 수용체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례를 세계 최초로 보고해 신약 개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의 책임자인 류성호 교수는 “발굴된 IR-A48는 기존의 당뇨 치료제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진보된 치료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 수행중인 전임상 연구가 마무리되면 압타머 전문기업인 압타머 사이언스를 통해 본격적인 치료제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