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식 서예가 `솔뫼손편지 5종` 폰트 개발<BR>`광개토호태왕비`를 목간체 형식으로 해석<BR>한자 9천776자… 국내 최고 자수 보유
중견 서예가인 솔뫼 정현식(56·사진) 작가가 `솔뫼손편지 5종`을 선보였다.
정 작가는 지난 2004년 한글폰트3종(진·정·순 7천338자)과 2008년 솔뫼한자(4천888자)개발에 이어 3번째 서체(솔뫼한글 7천338자, 솔뫼한자 9천776자)를 개발했다.
이로써 정 작가가 지금까지 개발한 서체는 총 2만9천340자(한글 6종 1만4천676자, 한자 3종 1천466자)로 현재 국내 서예가가 개발한 한글·한자 서체 중 최고의 자수를 보유하고 있다.
정 작가의 46년간 서예필력을 담아낸 이번 글꼴(Font)의 특징은 역사적으로 의미가 큰 `광개토호태왕비` 글자체를 목간체의 형식으로 해석(솔뫼손편지B)해 작가의 서예에 대한 깊은 사유의 확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예술의 대중성과 문화예술의 사회적 기여에 비중을 두고 있다.
이미 개발된 서체는 각 방송매체와 전국의 간판·서적·기타 홍보물의 글씨로 널리 쓰여지고 있다.
서예의 일반적인 도식과 기계적인 글꼴에서 벗어나 따스한 감성이 묻어나는 글꼴로 구성돼 있으며, 특히 일반 글꼴에서 볼 수 없는 한자(9천776자)를 표현할 수 있다.
일반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한자는 가장 기본적인 명조·고딕의 형태 밖에 구현할 수 없었고, 다양한 한글 글자꼴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발이 이뤄지지 않았다.
작가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문화를 간직한 우리 한자를 펜, 붓, 크레파스 등 다양한 도구를 통해 구현했다.
이로써 현존 서예가 중에서 대표적으로 많은 컴퓨터용 글꼴(Font)을 개발하게 됐으며 한자 글꼴의 경우 현재 그 누구도 이루지 못한 작업을 완성하게 됐다.
수년간 원도 기획구상 작업과정과 실제 컴퓨터 원도 작업(폰트뱅크)에 약 2년의 시간을 거쳐 완성된 서체는 이번 발표와 함께 4월 중순부터 한·중·일 공용한자 808자의 경우 일반 사용자들에게 비상업용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보급할 예정이다.
서예가로서 솔뫼 정현식은 11번의 개인전과 6권의 서예 전문서적 출판과 다양한 문화상품의 제작은 서예계의 새로운 대안이기도 하다.
1994년 대한민국서예대전 초대작가 심사위원과 서예문화상 및 초대작가상 수상을 비롯해 각 시·도전 심사·운영위원을 역임했다.
현재는 대학 강의와 전업작가로서 전통서예의 대중성과 캘리그래피의 접목에 깊은 연구와 저술작업에 전념하고 있다. 현재 경주 충효동 산자락에서 솔뫼문자예술연구소와 서예상설전시장 갤러리 솔뫼를 운영하고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