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적게 먹으라고 `소금`

김혜영기자
등록일 2015-03-18 02:01 게재일 2015-03-18 13면
스크랩버튼
3월16~22일 세계 나트륨 경고 주간
짭짤한 감자칩, 얼큰한 된장찌개. 생각만으로도 군침을 돌게 만드는 음식이다. 남녀노소의 입맛을 사로잡는 이 맛의 숨은 공신은 바로 짠 맛, 나트륨이다.

소금의 주성분인 나트륨은 우리 몸에 반드시 필요한 성분이지만 과다 섭취 시 고혈압, 심장질환 등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꼽힌다. 염분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식욕 자극 호르몬 분비량이 높아져 과식하기도 쉽다. 한국인의 평균 하루 소금 섭취량은 12g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5g의 2.3배에 달한다. 짠 맛에 익숙해져버린 식습관이 이미 우리 혀의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셈이다.

이번 주는 건강관련 국제단체인 `소금과 건강을 위한 세계 행동(WASH: World Action on Salt and Health)`이 정한 세계 나트륨 경고 주간(3월 16일~22일)이다. 평소 음식을 짜게 먹는 이들에게는 나트륨 경고 주간을 맞아 저염식에 도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한 첫 걸음은 식사 시 국물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밥상 문화 특성상 매 끼니마다 국이나 찌개 등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국이나 찌개를 먹을 때에는 되도록 건더기를 위주로 건져먹고 국물 섭취는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국그릇의 크기를 줄이는 것 또한 국물 섭취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국물 요리 시 멸치와 파, 양파껍질, 다시마, 무 등을 넣어 감칠맛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요리 전문가들은 음식이 싱거우면 맛이 없다는 선입견을 가진 사람들이 많지만 실제로 감칠맛이 진하면 염도가 낮아도 맛있게 느껴진다고 설명한다.

음식의 간을 맞출 때에는 어느 정도 식은 다음에 하는 것이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있다. 음식이 뜨거울 때는 짠맛이 덜 느껴지기 때문이다.

대웅제약 직영 구내식당 금초롱 영양사는 한 언론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음식 소금간은 배식 직전에 한다. 너무 뜨거우면 짠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다. 짠맛을 인지할 수 있는 온도는 음식이 17~42℃일 때다. 따라서 팔팔 끓인 국이 식으면 소금을 살짝 넣어 간을 맞춘다”고 말했다.

나트륨은 소금에만 들어있는 것이 아니다. 간장과 쌈장, 고추장 역시 사과나 매실 등을 사용해 염도는 낮추고 영양은 더해 저염양념으로 만들어 먹으면 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

음식을 만들 때 식초나 레몬, 유자 등 신맛이 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소금을 적게 쓸 수 있는 방법이다.

/김혜영기자 hykim@kbmaeil.com

라이프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