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성여론 2012년 67%서 반토막, 반대는 절반 넘어 `역전`<Br>원전 비리·정부정책 불신·日 후쿠시마 사태 등 영향인 듯<BR>경북매일, 영덕군민 1천200여명 여론조사 결과
▶관련 기사 2·3·4면
본지가 지난 9일부터 10일까지 이틀 동안 폴스미스리서치(대표 이근성)에 의뢰해 영덕군민 1천231명을 대상으로`영덕군 원전 건설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찬성`35.8%, `반대`51.8%, `잘 모름`12.4%로 각각 조사됐다.
지난 2012년 김병목 전 군수 재임 당시 영덕군이 원전 유치를 결정한 이후 67.2%에 달하던 찬성율이 반대 쪽으로 옮겨간 것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와 원전 비리 파문, 삼척시 주민투표 결과 반대 여론 우세 등의 부정적 변수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1년 전인 2013년 2월 실시된 조사에서 43.2%로 반대 39.1%, 잘 모름 17.1%으로 격차가 대폭 줄고 있었음에도 정부는 그동안 이에 대한 아무런 대책 등을 제시하지 않은채 세월만 보내는 등 원전시책에 대한 불신을 자초했다는 지적마저 나온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반대 의견의 응답자들은 영덕군의회 원전특별위원회가 정부에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는 원자력해체센터 영덕 유치, 공단 50만평 조성, 신도청 입지 안동-영덕 간 철도 건설 등 방안이 수용되면 21.4%는 찬성할 것이라고 밝혀, 정부가 어떤 지원안을 내놓을 것인지의 여부가 향후 변수로 등장할 전망이다. 원전특위가 내부적으로 갖고 있는 안을 정부가 수용할 경우 찬성한다는 층을 포함하면 찬성율은 47%에 달한다.
`2012년 원전 유치 이후 군민 여론 변화`에 대한 질문에서는`찬성이 많아지는 것 같다`는 35.8%인 반면`반대가 많아지는 것 같다`는 64.2%로 나타나 반대기류에 점차 힘이 실리는 경향이었으며,`원전 유치 시 정부 지원 방안에 대한 신뢰`에 대해서도`신뢰하지 않는 편`이 62.3%로 `신뢰하는 편`의 37.7% 보다 훨씬 많았다.`지난 2012년 추진 당시 군민전체 의견이 아닌 유치 지역 주민 700여명의 의견만 반영한데 대한 생각`에서는`군민 전체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맞다`가 82.6%로,`해당 주민 의견만 반영해도 된다`의 17.4%를 압도했다. 그 연장선상에서 원전건설과 관련해 주민투표 부분을 물어본 결과,`원래(현재처럼)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30.2%에 불과했고,`주민 투표를 통해 다시 군민의견을 물어야 한다`에는 69.8%가 동의해 향후 주민투표 부분이 뜨거운 감자로 등장케 됐다.
`원전 건설 반대여론이 높아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위험성(61.6%)이 가장 높았고, 농어업 피해 예상(17.8%), 정부의 합당하지 않은 지원(9.8%), 원전이 없어도 지역 발전 가능(9.7%) 등으로 나타났다. `원전 안전성`에 대해서는 `불안`이 56.2%로,`우려하지 않음`43.9% 보다 다소 높았다.
이번 조사는 영덕군 성인 남녀 1천231명을 대상으로 읍면별·성별·연령별 인구비례 가중치 분석을 통해 자동응답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95%의 신뢰구간에서 표본오차는 ±2.8%이다.
/임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