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있는데 나중에 둘 다 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

등록일 2014-11-21 02:01 게재일 2014-11-21 11면
스크랩버튼
△국민연금은 가족단위가 아닌 개인에 대한 연금제도이므로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했다면 보험료를 납부한 기간에 따라 당연히 둘 다 노후에 연금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남편이 30년을 가입해 매월 150만원의 연금을, 부인이 20년을 가입해 100만원의 노령연금을 받을 권리가 생긴다면 모두 사망 전까지 각자의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다.

단, 부부 모두 노령연금을 지급받는 중에 한 사람이 사망하면 남은 배우자에게 유족연금을 받을 권리가 발생하지만 두 가지 급여 모두를 받을 수는 없으며, 본인의 가입기간에 따른 노령연금과 배우자의 사망으로 발생한 유족연금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이 경우 노령연금을 선택하면 노령연금액에 유족연금액의 20%를 추가로 지급받게 되며, 유족연금을 선택하면 유족연금만 지급받게 된다. 이는 국민연금이 사회보험으로 가입자 본인 또는 유족의 소득감소에 따른 생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연금의 종류는 달라도 소득보장이라는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목적의 급여를 2개 이상 전액을 지급하지 않고 더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보장의 기본원리에 따른 것이다.

국민연금공단 포항지사

문의사항(국번없이) 1355

알림마당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