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특성화고 졸업생 “대학보다 일자리”

김기태기자
등록일 2014-09-23 02:01 게재일 2014-09-23 13면
스크랩버튼
올해 전문계高 취업률 44.2%로 작년보다 3.3%p 증가<br>2001년 이후 하락세 보이다 13년만에 진학률 앞질러
▲ 고교 직업교육 대상자 취업률 및 진학률 추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전문계고교의 올해 취업률이 13년 만에 진학률(38.7%)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2014년 2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자의 4월 1일 기준 취업률과 진학률 현황을 22일 발표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특성화고(직업교육), 산업수요맞춤형고(마이스터고), 일반고(舊. 종합고 전문반) 등 전문계고교의 취업률은 44.2%로 전년(40.9%) 대비 3.3% 증가했고, 진학률은 전년(41.6%) 대비 2.9% 감소한 38.7%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전문계고교의 취업률이 지난 2001년 이후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보이다 13년 만에 진학률을 역전했다.

학교유형별 취업률은 마이스터고 90.6%, 특성화고 45.3%, 일반고(舊. 종합고 전문반) 23.9%로 나타났으며 특히 두 번째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는 마이스터고는 2년 연속 90%이상의 취업률을 보였다.

이처럼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률이 2009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를 보인 것은 지난 정부의 산업수요 맞춤형고(마이스터고) 지정·육성과 취업역량강화 사업 추진 등 현장 중심 취업 교육의 기틀 마련에 이은, 현 정부의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직업교육 강화와 고졸자 인식 제고 등 지속적인 정책 추진의 결과로 보인다.

아울러 교육부는 현장 중심의 인재 양성을 위해 특성화고 3곳에 스위스 도제식 직업학교를 시범 도입·운영하고, 오는 2016년부터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을 도입·적용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앞으로 고졸 취업자가 비전을 갖고 기업에서 일할 수 있도록 실력과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직업교육을 내실 있게 지원하고, 고졸 적합 직무개발, 고졸 취업자에 대한 인식 및 고졸 채용·인사관리 제도 개선 등 고졸취업 활성화를 위해 관계부처 및 산업계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김기태기자 kkt@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