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연과 교감하는 캔버스

정철화기자
등록일 2014-09-03 02:01 게재일 2014-09-03 12면
스크랩버튼
DGB갤러리, 12일까지 `꽃과 자연` 기획전 열어<BR>대구 구상작가 권유미·김정기·박병구 작품전시

▲ 권유미 작
▲ 권유미 작

추석을 앞두고 가을의 향기에 곳곳에서 묻어난다. 가을은 황금들판의 풍성한 결실이 우리의 마음을 풍요롭게 하고 자연이 더욱 아름답게 느껴진다. 도심 속에서 가을의 정취를 느낄 수도 있다.

자연은 보는 사람들의 마음에 따라 각기 다른 세상으로 표현된다. 바로 예술작가들은 그들만의 자연을 노래한다. 꽃과 자연을 노래하는 미술 작품의 세계를 만날 수 있다.

DGB갤러리는 지난 1일부터 12일까지 꽃과 자연 기획전시회를 마련했다. 이번 전시회는 각자의 표현방식으로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하는 대구 구상작가 3인의 작품을 만난다.

□권유미

권유미는 꽃을 그린다. 그녀의 꽃은 밝다. 암울, 우울, 독선, 냉소, 은닉, 음탕의 색깔을 순식간에 탈색시키는 강렬한 밝음이 있다. 그녀의 화병에는 외로운 꽃이 없다. 모든 꽃들이 삼삼오오 옹기종기 모여 정겹다. 특별히 잘난 꽃도 없다. 크고 작은 꽃들이 중심과 주변으로 흩어져있지만 우열이 없다. 주인공과 소모품으로 구분되는 사람세상과 달리 모든 꽃이 주인공이다. 그래서 권유미의 꽃 세상은 편안하다. 부담이 없다. 색깔과 생김새가 서로 다르지만 모두가 `꽃`이다. `다름`이 틀림이나 잘못됨이 아니라 아름다움이라는 것을 은유한다.

권유미는 꽃을 화병에 담는다. 화려하고 귀한 화병이다. 어떤 것은 자개화병이고 또 어떤 것은 황금화병이다. 그녀가 그녀의 모든 꽃을 화병에 담은 것은 당위의 자연법칙이다. 화병에는 물이 있고, 물이 있는 꽃은 시들지 않는다. 화병은 그릇이고, 그릇은 성배(聖杯)의 상징, 성배는 모체(matrix), 자궁(uterus)의 상징이다.

그래서 화병은 꽃의 모든 것을 담을 수 있고, 모든 허물을 품을 수 있다. 화병은 꽃의 아름다움을 잉태하고 유지시킬 수 있다. 그래서 그녀는 자신을 압축한 꽃을 화병에 꽂았다. 권유미는 화려하고 밝은 꽃을 화병에 꽂아 영원을 주었다. 마치 자신의 풀 수 없는 수수께끼를 꽃의 세상에서 풀고자 하는 바람, 이것을 권유미는 그녀의 `꽃`에 압축하고 있다.

▲ 김정기 작
▲ 김정기 작

□ 김정기

김정기는 대부분 자연에서 그림의 소재를 택하고 있다. 흔히 주변에서 보아온 산이고 강이고 마을이고 꽃이다. 사람의 흔적을 그리되 되도록 화폭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 대부분 우리의 삶과 역사를 잉태시켜온 현장이다. 어쩌면 그의 그림에 있어 자연은 실존의 위의(威儀)를 깨우쳐주는 에너지원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회화적인 순수성이 돋보이는 그의 화폭은 야수파적 정취가 묻은 인상주의적 생동감이 넘친다. 그러면서도 소위 `유토피아`의 추구가 아니라 현실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하는 진단적이고 반성적인 시각으로 읽혀진다.

자연의 마음을 헤아리고 물상의 상태를 읽어낼 수 있을 때만이 감동의 요소가 생기기 마련이다. 그렇게 보면 김정기는 강렬한 색채를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 세상과의 소통을 시도하고 있다.

자연과의 감성적 교감이 김정기 그림의 장점이자 가장 큰 가치 덕목이다. 자연의 대상을 통해서 우주의 철리(哲理)와 만나고 강인한 생명력이 주는 기운(氣韻)을 개성적인 조형언어로 재현해 내고 있다. 다소 원색적이다 싶을 만큼 그의 화폭에 옮겨지는 자연물에는 그러나 작가가 전하고자하는 메시지들이 은유적으로 깔려 있다.

▲ 박병구 작
▲ 박병구 작

□ 박병구

박병구는 색채에 대한 새로운 모색을 통해 자연주의의 조형적인 틀을 벗어나고 있다. 실제에 가깝게 재현하는 일반적인 자연주의 표현기법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현실에서 맛볼 수 없는 회화적인 아름다움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길을 찾고 있는 것이다.

자연을 취재하면서 나름대로의 자연관을 확립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림은 결과적으로 우리들의 각박한 현실에서 잠시나마 정신과 마음이 쉬어갈 수 있는 삶의 휴지부인 것이다. 그는 그러한 기능을 기대하면서 순화되고 정화된 이미지를 추구하는 것이다. 그의 그 림은 그러한 기능을 자청하고 있다.

최근 작업에서 그는 색상의 범위를 좁히고 있다. 동일색상 계열의 색채이미지만으로 처리함으로써 몽환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가 증가한다. 동시에 아른한 과거의 시간 속을 소요하는 듯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회고적이고 복고적인 정서를 만들어낸다. 그러한 과거의 시간으로 들어서면서 우리는 회화적인 환상 속에 빠져들게 된다. 그 환상적인 분위기는 문학적인 서정미로 연결된다. 풍경화의 궁극은 바로 서정적인 문학성과 만나는데 있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