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백프라자갤러리 2~14일 `사람 사이의 벽들` 주제<BR>佛사진작가 알렉상드라 노보셀로프·프랑크 네스 초대전
세계 각지에 전시된 프랑스 사진작가 알렉상드라 노보셀로프, 프랑크 네스의 명작들이 대구에서 전시된다.
대구 프랑스 문화원과 대백프라자갤러리가 공동 기획한 프랑스 사진작가 알렉상드라 노보셀로프, 프랑크 네스의 2인 초대전이 2일부터 14일까지 대백프라자갤러리에서 마련된다.
`사람 사이의 벽들`이란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2014 대구사진 비엔날레 갤러리 한마당에 참여하는 행사이다. 세계에서 가장 복잡하고 깊은 이념적인 대립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지역의 사진들을 주제로 엮는 이번 전시는 대립과 갈등의 메시지를 전한다.
정치학자 알렉상드라 노보셀로프와 프랑크 네스가 지난 2005년 7월부터 2007년 4월까지 2년여동안 전세계를 다니며 기록한 장벽 사진들 중 50여 점과 영상 기록들이 선 보인다.
두 초대작가는 베를린 장벽이 붕괴된 지 20여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세계 곳곳에 산재해있는 장벽들을 사실적 영상을 담아내는 사진으로 진솔하게 보여주고 있다. 멕시코 티후아나에서 아일랜드 벨파스트, 카슈미르를 거쳐 예루살렘에 이르기까지 2여년에 걸쳐 여행을 하며 장벽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나고 그 장벽들이 바꾸어 놓은 삶들을 바라보았다. 사진속의 벽들은 각기 다른 모습을 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대립과 공존의 실패, 분단에 의해 희생된 사람들의 삶의 단면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칠판이 벽돌 또는 철망으로 만들어진 높고 낮은 벽이 있는가 하면, 하나의 선이나 혹은 플라스틱 부표로 표시된 경계도 있다. 이 물리적인 벽은 `보이지 않는 벽`을 만드는 이념의 장벽이기도 하다. 외부의 공격을 차단하고 위협받고 있는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만들어진 벽은 이제 나라와 개인들을 불리하고 고립시키는 벽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번 전시회의 주제인 `사람 사이의 벽들`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사람들 고립시키고 정치적으로 이념적인 다양한 장벽을 허물고 화합과 평화의 시대의 희망을 제시한다.
미국·멕시코 간 국경 장벽은 캘리포니아 서부 태평양 연안에서부터 텍사스 동부 멕시코만에 이르기까지 대륙 전체에 걸쳐있다. 2001년 9·11테러 이후, 미국의 국경 감시는 더욱 강화되었고, 미의회 몇몇 의원들은 미국과 멕시코 국경선 전체를 빈틈 없는 견고한 벽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아일랜드 벨파스 피스라인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구교도 민족주의자들의 거주지와 신교도 연합주의자들의 거주지 사이에 만들어진 평화선이다. 1970년대 두 집단 간의 충돌을 막기 위해 임시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계속 보장되고 있다.
키프로스 그린라인은 철조망과 모래자루, 드럼통으로 10여년간 만들어졌다. 세우타-멜리야 철조망벽은 1990년대 중반 유럽으로 건너오려는 엄청난 수의 불법 이민자들을 막기 위해 세우타와 멜리야에 차례로 철조망이 쳐졌다. 건설 초기 효과적이지 못했던 장벽은 점점 보강되어 현재는 아무도 넘을 수 없으며 설사 첫 번째 철책을 넘어도 발을 디딜 수 없는 시스템으로 2km 전방 모로코 영토까지 감시되고 있다.
팔레스타인 장벽은 이스라엘인들에게는 `보안장벽` 혹은 `테러 방지벽`이라고 불리지만 팔레스타인에게는 `분리 장벽`, `합병선` 혹은 `수치의 벽`이다. 도시 안으로 9km 높이의 콘크리트 장벽이 세워져 있으며, 일부 지역은 조금만 닿아도 경고음이 울리는 전자시스템과 50m마다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이중 철조망이 이어져 있다.
1846년 그라브 싱 왕이 영국으로부터 사들인 카슈미르 지역은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중아아시아, 중국과 접해있 요충지로 인더스 강이 흐른다. `잊혀진 낙원` 또는 `지상의 마지막 낙원`인 이 지역은 60년 전부터 인도와 파키스탄간 분쟁의 불씨가 되었다. 서사하라 치욕의 장벽은 총 길이 2천km의 모래 제방으로 모로코인들에 의해 1960년대 건설됐다. 무장한 12만명의 모로코 병사들이 주둔하고 있으며 지뢰 및 반경 60km 지역을 감시할 수 있는 각종 전자장비가 설치돼 있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