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유의 추리소설 기법 동원… 한번 펼치면 푹~ 빠져들어
한반도 핵 문제(`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대한민국 국호에 담긴 비밀(`천년의금서`) 등 인화성 높은 역사 문제와 긴박한 한반도 정세를 추리소설 기법으로 풀어내 대중적 인기를 얻어온 작가가 이번에 선택한 소재도 예사롭지 않다.
동북아시아 국제 정세에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미국의 고(高)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국 배치 가능성이다.
소설은 세계은행 연구원으로 잘 나가던 리처드 김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시작된다.
리처드 김이 총격으로 피살되기 직전 그에게서 요양원에 있는 어머니를 돌봐달라는 부탁을 받은 최어민 변호사가 리처드 김의 죽음을 둘러싼 의문을 파헤친다.
변호사가 되고서 3년 동안 단 한 건의 사건도 수임받지 못했던 그는 단순 강도 사건 정도로 여겨졌던 리처드 김의 죽음에 `사드`가 관련돼 있다는 것을 밝혀낸다.
10권 완간을 목표로 집필 중이던 역사소설 `고구려`의 집필을 중단하고 이번 작품을 썼다는 작가의 현실 인식에는 절박함이 느껴진다.
천문학적인 적자를 안고 있는 미국이 중국과의 경제적 불균형을 일거에 만회하기 위해 중국과의 전쟁을 준비할 경우, 미국이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갖춰야 할 장치가 사드의 한반도 배치라는 게 작가의 분석이다. 사드가 한반도에 배치되면 중국의 대륙 간 탄도탄이 단숨에 무력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작가는 “`고구려`를 둘러싼 역사 문제도 중요하지만 사드는 우리나라에 당장 닥친 문제”라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미국은 미사일 방어망을 완성하면 중국의 미사일을 100% 막아낼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오산이었으며 미사일 방어망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한반도에 (중국의)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전진 기지를 설치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의 요구에 따라) 사드를 받느냐, 안 받느냐는 굉장히 어려운 문제”라면서 “지금부터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중에 어떤 계기도 없이 일부 군인이나 정치인들이 급작스럽게 몰려서 선택을 하면 안 되기 때문에 지금부터 독자들과 함께 이 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해보자는 뜻에서 책을 집필했다”고 설명했다.
1년전에 책을 기획해 3개월 만에 집필을 끝냈다는 작가는 책 머리말에 “경제의 현재와 미래를 중국에 걸고 있는 우리 현실에서 사드를 받아 중국과의 불화를 초래하는 건 어리석은 일이지만, 그렇다고 국가방위를 미국과 같이하는 있는 입장에서 미국의 요구를 거절할 수 있을지, 아니 거절하는 게 옳은지…. 그야말로 어려운 문제”라고 밝혔다.
작가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소설적 장치를 최대한 배제했다고 말했지만 작가의 여느 소설처럼 추리소설 기법이 동원된 이 책은 일단 한번 펼치면 그냥 덮기 어려운 흡입력을 갖고 있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