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여중 16명 방학 반납한채 연극배우 꿈 키워<BR>14일 전교생 대상 `어링불 도깨비` 공연 선보여
“금 나와라 뚝딱! 은 나와라 뚝딱”
포항제철소 부지의 옛지명 어링불에서 울려 퍼졌던 도깨비들의 함성이 다시 나루끝에서 울린다.
포항시 북구 우현동(나루끝)에 위치한 포항여중(교장 김창욱) 본관 1층에 위치한 학생회의실은 3주간 여름방학을 모두 반납한 16명 아마추어 연극배우들의 열기로 가득하다.
삼성꿈장학재단(이사장 송석구)의 배움터교육지원사업 주제별교육사업 `단디스쿨`이 열리고 있다.
포항여중 35회 졸업생인 예비사회적기업 꿈찾아(주) 정혜란 대표와 38회 졸업생 정혜 작가가 모교의 후배들을 위해 삼성꿈장학재단과 어링불 지역교육네트워크(대표 김일만)의 후원을 받아 시행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진로 프로그램이다.
단디스쿨은 참여 학생들이 스스로 `나`를 말한다. 서살이 된 자신에게 편지를 쓰고, 꿈을 완성한 `나`를 만나고, 그 속에서 응집된 진로(꿈찾기와 직업체험)의 그림을 종합예술 연극으로 결과를 도출하는 순으로 진행된다.
학교 성적에 결코 자유롭지 못한 중학생들이 자신의 `꿈`과 `끼`를 찾기 위해 여름방학을 모두 반납하고 `연극`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이곳에서는 현재 희극 `어링불 도깨비` 공연 준비로 한창이다.
공연은 오는 14일 포항여중 900여명의 전교생을 관객으로 한마루관에서 2회(2교시, 4교시)로 막을 올릴 예정이다.
연극은 재학생 최다빈(1학년)과 김민지, 김민서, 이경민, 이지인, 김나영, 신영리, 박가람(2학년), 조희연, 김문슬, 백유진, 정은재, 최유란, 김지민, 백승아, 김현수(3학년) 총 16명의 출연진이 무대를 꾸민다.
어링불 도깨비의 내용은 만남의 설렘, 탄생과 만남, 또 다른 만남의 이름, 이별, 어링불 도깨비들의 향연으로 구성된다.
배우와 무용, 음악, 소품, 포스터, 동영상 촬영 등 공연 외 스텝 작업도 학생들이 직접 참여해 연극을 완성한다.
대본은 이 학교 출신의 작가 정혜(정혜숙)씨가 썼다. 정혜씨는 포항여중 재학당시(1977년 ~ 1979년) 작가로의 꿈을 품었다고 한다. 현재 작가로의 텃밭이 된 모교에서 후배들에게 `꿈찾기`의 새싹을 키울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기꺼이 자처했다. 여기에 포항여중 출신 정혜란 대표와 꿈찾아(주)의 교육연극팀 교사들의 협조자로 나섰다.
`어링불`은 포항의 옛 지명. 지금 포항제철소가 자리 잡고 있는 일대를 `어룡사`, `어룡불` 또는 `어링이불`이라 불렸다.
`어링불 도깨비`는 이 지역을 배경으로 역사, 설화, 민담을 주축으로 하고 거기에 작가의 상상력을 버무려냈다.
연극에서는 포항의 제철 역사를 만난다. 서기 157년부터 이미 포항은 제철터고 신광면사무소 내에 있는 `국보 제264호 영일냉수리신라비`, 최초 한·일 교류사인 `연오랑 세오녀`, 몰개월과 일월지, 5~6C 신광에서 활동한 `무쇠기술자(도깨비)`, `세오녀`의 탄생 등 지역의 역사를 이야기 한다.
/정철화기자
chhjeong@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