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경북대 공동개발… 묘목품종 조기식별도 가능, 농가 피해감소 기대
【상주】 경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은 경북대학교와 공동으로 떫은감 품종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간이키트 개발에 착수했다고 3일 밝혔다.
상주감시험장에 따르면 감나무는 묘목구입시 품종구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나무를 심은후 4~5년이 지난 후에야 과실이 열려 재배농가에서 어려움을 겪어왔다. 또 지난해 수입된 중국산 곶감 2천400여t 중 상당량이 국산으로 둔갑된 것으로 보고 있지만 아직까지 곶감품종 식별방법이 없어 생산자와 소비자의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따라 상주감시험장은 지난 2011년부터 떫은감 품종 육성 및 품종보호를 위해 품종간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 연구를 하면서 DNA마커(EST-SSR marker)를 개발, 품종을 구분할 수 있는 특허를 지난 2013년에 이미 등록했다. 또 앞서 수행한 연구에서 얻은 유전정보를 활용, 먼저 국내 곶감생산의 60%를 점유하고 있는 `상주둥시`품종을 식별할 수 있는 간이키트를 개발하고 이를 다른 품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상주감시험장은 간이키트가 개발되면 임신 진단키트와 같이 현장에서 상주둥시 곶감을 식별할 수 있어 생산자와 소비자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고 감 묘목 품종의 조기 식별도 가능해 농가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세종 경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장은 “중국산 곶감과 짝퉁 상주둥시 곶감 유통으로 상주곶감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며 “이 기술이 개발되면 곶감 유통의 가장 큰 애로사항을 해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현장 평가 후 상주시에 기술을 이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