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감시험장 “고온·잦은 강우로 벌써 발생”<BR>지난해 농가 큰 피해… 5~6월 중 예방해야
【상주】 상주감시험장(장장 김세종)은 올해 감 주산지 상주지역의 경우 조기 고온과 잦은 강우로 5월 상순부터 둥근무늬낙엽병 포자가 비산되기 시작했다며 방제를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올해 상주지역은 3~4월 평균기온이 지난해보다 2.2℃ 높았고 강우도 잦아 앞으로 점차 비산량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둥근무늬낙엽병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5월~6월 방제에 주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상주감시험장에 따르면 지난해 감재배 농가에 큰 피해를 줬던 감 둥근무늬낙엽병 포자는 지난 4일 처음 비산된 것이 관찰됐고 최근 잦은 강우로 비산량이 급속하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둥근무늬낙엽병 병원균은 5~7월에 감나무에 침입한 다음 8월말 이후 기온이 서늘해지면 발병해 잎에 둥근무늬 모양의 반점들을 만드는데 조기 낙엽은 물론 심할 경우 과실이 떨어지기도 하는 병이다.
일단 병이 발생하면 방제가 어려우므로 병원균 포자가 날아서 퍼지는 시기, 즉 꽃이 떨어진 이후부터 5~6월에 예방위주로 방제해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
김세종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장은 “감은 초기 관리가 작황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둥근무늬낙엽병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꽃이 진 후 방제를 하고 비가 올 경우에는 강우조건을 고려해 강우 이후 2~3일 이내에 약제 방제를 하면 탄저병도 동시에 잡을 수 있다”고 밝혔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