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미국 기부문화 명암 조명하다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4-05-16 02:01 게재일 2014-05-16 13면
스크랩버튼
`세상을 바꾸는 착한 돈` 기 소르망 지음 문학세계사 펴냄, 330쪽

세계적인 석학인 프랑스의 사회학자 기 소르망(70)의 `세상을 바꾸는 착한 돈(Le coeur americain)`(문학세계사)이 번역, 출간됐다.

이 책은 기 소르망이 지난 2012년 6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1년 동안 미국 현지에 머무르면서 미국의 기부 문화에 대해 샅샅이 취재한 기록을 담고 있다.

그는 미국 기부문화의 기원과 현주소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그 실상과 허상을 분석해 미국 기부 문화의 명암을 심층적으로 조명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미국의 기부문화의 진실뿐만 아니라 빈부격차나 공교육의 부실 등 미국이 안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를 들여다보게 할 뿐만 아니라, 미국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안고 있는 사회 문제에 대해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한다.

사람 생명보다 돈을 우선시하는 자본의 탐욕이 불러낸 이번 세월호 참사 등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성찰하는 계기가 될 듯 하다.

□ “많이 버는 만큼 많이 내라”

기 소르망은 “미국의 슈퍼리치들은 자신들의 부를 대물림하는 데 집착하기보다는 사회 환원에 더 적극적”이라며 “기부는 미국 문화와 역사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미국인들은 후원금이나 자산 기부 등 금품기부 뿐만 아니라 자신의 재능과 시간을 나누는 자원봉사에도 적극적이고 연간 수십억 달러를 기부하는 슈퍼리치들이 있는가 하면 매달 자신의 유무급 휴가를 이용해 자원봉사를 하거나 지정단체에 소액 기부금을 보내는 평범한 이들도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인들이 기부에 적극적인 이유에 대해 기 소르망은 박애적 기부를 통한 슈퍼리치들의 적극적인 사회참여는 미국의 정신문화적 전통에 기인한다고 분석한다. 자수성가형 인물들이 대부분인 미국의 갑부들은 성공에 이르기까지 정말 많은 행운이 따라준 것에 감사하며 성공한 후에는 자신이 누렸던 그 행운을 다른 이들에게 나누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 `제3섹터`의 기반이 되는 기부

기 소르망은 “기부는 받는 사람만큼이나 베푸는 사람에게도 혜택이 돌아간다. 좋은 일 좀 했다고 박물관이나 학교 건물에 이름을 남기는 일부 슈퍼리치들의 허영심을 만족시켜 준다는 것만이 아니다. 옳다고 생각하는 좋은 일을 위해 자신의 재산과 시간을 베풂으로써 사회적, 인간적, 정신적 혜택을 얻는 것이야말로 기부의 미덕”이라고 설명한다. 기부자든, 자원봉사자든, 기부단체 운영자든, 베푸는 사람들은 자신의 시민정신과 영혼의 고취를 추구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

또 그는 “기부는 단순한 돈이 아니라 국가와 시장이 못 다한 일을 해결함으로써 아름다운 사회를 완성해주는 `제3섹터`의 기반”이라고 했다.

국가나 시장과는 다른 방식으로 진보를 추구하면서 시민정신과 유대를 강화한다는 것이다.

□ 한국 젊은이에 기부 통한 새 길 제시

기 소르망은 한국어판 서문을 통해 삶의 진정한 의미를 찾고 있는 한국의 젊은이들에게 이 책을 헌정하는 이유를 밝히기도 했다.

▲사회학자 기 소르망

“한국 사회를 좀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일에는 정부보다 사회단체나 재단들이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수많은 기부자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원봉사자들의 참여를 통해 온 사회가 같이 책임을 나누어지고, 그렇게 나누는 만큼 그 무게는 가벼워질 것이다. 오늘을 사는 한국의 젊은이들이 삶의 의미에 대해 얼마나 많은 고민을 하는지 잘 알고 있다. 나눔 실천, 박애적 기부 활동이야말로 미래를 꿈꾸는 한국의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길을 제시할 것이라고 믿는다. 받는 사람과 주는 사람 모두에게 행복을 선사할 수 있다는 점이 기부가 가진 가장 커다란 덕목이기 때문이다. 나눔과 기부 문화는 자원봉사와 함께 한 나라의 문화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이다. 시민들의 자발적 행위를 통한 계층 간 통합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나눔과 기부 문화를 통해 한 사회 안의 건강함을 엿볼 수 있다. 기부를 한 경험이 있는 사람(92%)은 그렇지 않은 사람(76%)보다 자신의 건강과 삶에 더욱 만족한다는 설문조사가 있다. 어려운 처지의 누군가를 작게나마 도움으로써 뿌듯함을 얻는 일은 분명 자신을 따뜻하게 해줄 것이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