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로 잠정 중단됐던 6·4지방선거 일정이 다시 시작됐다.
새누리당은 29일 대구시장 경선을 시작으로, 30일 포항시장에 대해 국민참여선거인단 경선을 실시할 예정이어서 새누리당 경선을 앞둔 예비후보들의 막판 선거전도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국민참여선거인단 경선은 당원직접투표 50%,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후보자를 결정한다니 후보들은 불특정다수를 상대로 한 국민여론조사보다 선거인단으로 명부가 공개된 책임당원들을 만나 지지를 호소하는 데 총력을 쏟고 있다.
지방선거 일정중에 터진 세월호 참사는 이번 지방선거에 임하는 지역민들의 마음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포항시장 선거는 새누리당 공천 경선이 본선 열기에 못지않다. 공원식 전 경북도 정무부지사, 이강덕 전 해양경찰청장, 김정재 전 서울시의원 등 3명의 후보중 경선에서 승리한 후보가 무소속 이창균 전 한국지방자치연구원장과 포항시장선거에서 맞붙게 되지만 포항지역이 여권의 텃밭이란 점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크게 유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28·29일 이틀에 걸쳐 3천명의 포항시민 여론조사에 이어 30일 오후 포항실내체육관에서 열리는 새누리당 포항시장 경선은 당원 50%, 여론조사 50%의 직접 경선으로 치러질 예정이지만 아직도 누가 새누리당 후보로 뽑히게 될 지 예측불허다. 이날 경선에는 책임당원 2천명, 일반당원 2천100명 등 총 4천100명이 투표에 참여하게 된다. 각 후보들은 여론조사에 대비, 휴대폰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자신의 대표공약을 제시하고, 시장 출마의 당위성을 적극 홍보하고 있지만 뭐니뭐니해도 당원 직접투표의 결과가 분수령을 가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포항시민들이 어떤 후보를 포항시장으로 선택할 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현재 포항이 처한 상황을 돌이켜보면 어떤 후보가 바람직할까. 우선 후보가 제시한 정책들이 지역과 주민을 위해 꼭 필요하며 실현가능한 정책인지, 그리고 후보자가 인권, 민주주의, 생태(환경), 복지 등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시대정신을 제대로 반영한 비전ㆍ가치ㆍ철학을 제시하는지, 또 그것을 실천하려는 의지와 능력을 구비한 후보인지 면밀히 따져야한다. 도덕성 역시 중요하다.
대신 뽑지 말아야 할 후보에 대해서도 알아두자. 출마지역의 모든 현안을 임기내에 해결하겠다는 식의 `봉이 김선달식`공약을 내세우는 후보, 지방의 현안문제를 중앙정부의 힘을 빌려 해결하겠다거나 인근 지역과의 갈등문제를 주민의 힘으로 풀어보겠다는 후보는 곤란하다. 최근 세월호 참사이후 화두가 되고 있는 관피아(관료+마피아)도 피하는 게 좋겠다. 관료사회의 완고함속에 사고가 굳은 이에게 성장동력이 꺼져가는 포항호의 선장직을 맡겼다가는 `제2의 세월호`참사가 나지말란 법 없다.
고위관료인 친구가 소개한 일화 한 토막. 모 부처 장관이 새로 부임해 국장들을 모아놓고 임기내 이루고 싶은 과제에 대해 얘기했다. 그러자 자리에 모였던 10명의 국장들이 일제히 갖가지 이유를 들며 “어렵다”“불가능하다”“전례에 없다”며 반대했다. 화가 난 장관이 “이 사업은 꼭 해야한다. 내일 아침까지 사업 추진 방안을 내놓지 않으면 가만있지 않겠다”고 소리쳤다. 다음 날 아침, 장관의 책상위에는 10명의 국장이 제출한 10가지 사업추진방안이 가지런히 올려져 있었다. 책임지지 않으려는 직업관료들의 속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얘기다.
현재 포항은 철강산업의 침체를 극복하고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민간기업이나 대학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의견, 제안을 적극 수렴해 발전정책으로 다듬고, 신성장동력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경륜있는 일꾼이 필요하다.
민주주의는 선택의 역사다. 이런 과정을 통해 우리는 점점 더 나은 선택을 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