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가 이성조 희수 기념전
이성조 화백은 18세 때 청남 오제봉 선생을 사사하고, 1959년 만 20세라는 최연소 나이로 국전 서예부문에 입선한 뒤 대한민국 서예계에서 승승장구하며 대표 서예가로 알려져 있다.
1981년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전을 뉴욕과 LA에서 가졌고 1983년 화엄경 보현행원품 60폭 병풍과 독립선언문 36폭 병풍을 세종문화회관에서 전시하며 초대형 병풍 작가로 이름을 알렸다.
이 화백의 개인 전시회는 2007년 불교 경전인 묘법연화경 전 7권6만9천384자를 써넣은 120m 길이(168폭)의 병풍으로 고희전을 연 지 7년만이다.
당시 묘법연화경을 3번이나 베껴 쓰고 실명 위기까지 갔던 이씨는 이후부터 마음이 가는 대로 그림이나 글씨를 쓰기 시작했다.
밑그림이나 미리 구상하는 과정 없이 자연스럽게 그려진 조형들은 지금까지 그가 내놓지 않았던 종류의 창작물들로 이렇게 제작된 작품 90여점이 이번에 소개된다.
원자구조 같기도 하고 현미경으로 들여다 본 세포 같기도 하며 때로는 우주공간에 떠 있는 군성(群星)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는 듯한 작품들은 그동안 일관되게 다뤄왔던 단색의 표현양식에서 탈피해 다원색의 구성과 조화가 함께 어우러진 형식을 갖고 있다.
이씨는 “이번 작품들을 제작할 때에는 어두침침하고 희미하던 눈에 빛이 들어오던 것 같고 머릿속이 환해져 무아지경에서 붓을 놀렸다”며 “그래서 이번 전시 이름을 광영이라 지었다”고 말했다.
경남 밀양이 고향인 이 화백은 지난 1985년부터 대구시 동구 중대동 서초초등학교 인근에 공산예원이라는 집을 짓고 작품활동과 갤러리를 운영하고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