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2013 지역문화지표분석을 통해 본 대구·경북은?

등록일 2014-02-19 02:01 게재일 2014-02-19 18면
스크랩버튼
▲ 김태곤 대백프라자갤러리 큐레이터

올해로 취임 2주년을 맞은 박근혜 정부가 가지는 문화에 대한 관심과 지원정책은 과거 정부와는 분명한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다.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택했던 `문화융성 정책`이 이제 본 궤도에 오르면서 여러 가지 궁정적인 정책과 사업들을 쏟아져 나오고 있다.

2010년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불 시대`에 진입하고 2012년에는 인구가 5천만명을 돌파하면서 대한민국은 세계 7번째`20-50클럽`에 가입하는 업적을 이뤘다. 그리고 교역 규모 1조 달러를 2년 연속 달성한 탄탄한 경제력은 박근혜 정부가 문화융성 시대라는 선진화된 국정을 펼치는데 기초적인 역할을 충분 했다고 보인다. 진정으로 문화가 융성해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문화를 이해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부터 선행 돼야 하기 때문이다.

36년이라는 일제강점기와 8·15광복 그리고 6·25전쟁으로 이어진 우리나라의 근·현대사에서 국민들은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려야 했다. 그리고 1950년대를 지나 경제개발중심의 국가 정책이 지배적이었던 1960~70년대를 거치는 동안 `문화`라는 단어는 늘 경제성장이라는 그늘에 가려질 수밖에 없었다. 어느 정도의 경제성장이 이뤄진 1980년대에도 이러한 사정은 별반 나아지질 않았으며, 문화는 여전히 경제의 뒷전에 밀려 그 존재와 가치에 대한 개념이 빛을 바라고 있었다. 다행히도 1990년대 접어들면서 기존의 문화공보부로부터 독립해 문화관련 정부부처로 문화부가 신설되었고, 2000년도에 처음으로 문화에 대한 예산이 정부 전체예산의 1%를 넘어서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정부와 국민들의 문화 인식전환이 이제는 문화를 통한 다양한 체험과 고부가 가치산업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얼마 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2013 지역문화지표 지수화를 통한 비교분석` 연구결과에서는 대구·경북도민들의 삶의 질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줬다. 이번 연구에서는 2012년에 실시한 `지역문화 지표개발 및 시범적용`을 토대로 전문가 자문 및 검토를 통해 문화정책, 문화자원, 문화 활동, 문화향유 등 4개의 대분류 이하 총 37개의 지역문화지표를 선정했다. 시, 군, 구 통합 전체 지역문화지수가 가장 높은 곳은 경기도 수원시였으며, 군 지역에서는 전라남도 강진군, 구 지역에서는 서울특별시 송파구가 지역문화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처럼 다양한 지표 가운데 대구·경북의 주요 자료들을 먼저 살펴보면 기초 자치단체 전체예산 대비 문화정책예산 비율이 가장 높은 기초자치단체로 울산시 중구에(9.931%)에 이어 경주시(7.729%)가 기록되었다. 그리고 인구 1천명당 문화정책예산 규모가 가장 큰 지역으로는 경북 울릉군이 5억2천417만9천144원을 전남 강진군이 4억4천172만8천933원, 경북 고령군이 3억7천712만52원을 각각 집행한 것으로 조사되어졌다. 인구 10만명 당 문화기반시설수가 가장 많은 곳은 강원 영월군과 함께 경북 영양군이 각각 조사 되었는데 경북 영양군은 지역민들의 인구대비 공연, 전시, 문화 보급과 전수 등 문화예술 활동에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문화기반시설이 가장 많은 지역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대구시 중구는 인구 1천 명당 0.517개의 서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도서관에서 연간 도서 대여수가 가장 많은 기초자치단체로도 서울 종로구(10.0권)에 이어 대구시 중구(8.8권)라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다양한 지역문화지표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다양한 지역문화 관련 사업을 실행하는데 있어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이루는 잣대가 된다. 각 지역의 강·약점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강점은 특화하고, 약점은 점진 보완하는 체계적인 지역문화 지원정책의 기준이 되는 셈이다.

아침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