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바람 나는 도시를 창조 합니다`라는 슬로건으로 포항도시재생위원회가 창립총회를 마치고 최근 개소를 하였다. 개소에 즈음하여 설립취지 및 도시재생 비전을 선언했다. 이 비전은 도시재생위원회는 물론 포항시와 포항시민 모두가 함께 공유하고 지켜나갈 도시재생의 방향이자 실행방법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도시재생의 의미를 한 번 더 언급하면 최근 신산업으로 변화되는 산업구조 및 신도시 위주의 도시 확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기존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고 창조함으로써 쇠퇴한 도시를 새롭게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도시사업을 의미한다. 포항재생위원회에서 제시한 도시재생의미와 비전 그리고 생활재생형 성공사례를 소개 해 보고자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하루아침에 우리가 사는 동네에 새로운 건물이 솟아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의 도시 속에는 새롭게 단장된 동네도 있지만 오래되고 낡은 동네도 있다. 지금까지는 이런 낡은 동네의 개발은 우리가 잘 알고 있고 재개발, 재건축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재건축, 재개발은 동네를 모두 헐어버리고 새로운 아파트를 꽉꽉 채워 넣는 방식이다. 비싸진 아파트 값을 감당하지 못한 원래 살던 주민들은 동네를 떠나야 할 수 밖에 없었고, 장사하는 상인들도 가게가 헐리는 바람에 그 동네에서 삶의 터전을 포기해야 했다. 그래서 원래 살고 있는 주민이나 상인들이 떠나지 않고 살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해야 했다. 도시재생은 바로 이러한 고민에서부터 시작됐다.
우리 동네 상가를 사람들이 북적이는 활기찬 상가로 만들기 위해서 주민과 상인들의 참여와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동네의 장점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주민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가장 잘 실천하고 있는 청주시 중앙동 상인회 권순택 회장 말을 빌려보면 관이 주도가 돼서는 안 된다. 주민들이 뜻을 모아야 하고 의지가 있어야 한다. 그 의지를 집약해서 관에 요구도 해야 된다. 그에 대한 책임도 분담해야 된다고 말을 하고 있다. 청주시는 도시재생의 모범사례로 소개되고 있는 도시 중의 하나이다.
서울 은평구에서는 두꺼비 하우징이라는 사업을 하고 있다. 두꺼비 하우징은 주민 스스로 동네를 바꾸기 위해 찾아낸 방법이다. 주택 리모델링이나 개량을 통해서 헌 집을 새집으로 바꿔주는 사업이다. 그 동네에 주민의 편의 시설이나, 기반시설을 넣기 위한 사업 취지에 가장 부합되어 두꺼비 하우징이라는 명칭 선택을 하게 됐다고 한다.
아파트 주택관리 사업도 이사업에 포함시키고 있고, 하나의 마을에 하나의 사업으로 주택도 고치고, 주택외부 환경도 개선하고 그리고 주택 관리도 이루어지는 서구형 도시재생사업이 두꺼비 하우징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도시재생특별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이 만들어지면 전문가들이 참여한 도시재생지원센터가 만들어지고 사업을 총괄하게 된다. 재생기법을 적용함에 현장에 적합하고 실효성 있는 방법을 간구한다. 포항시는 재생사업의 시행의 주최로써 차질 없는 사업시행을 위해 재원을 확보하고 행정력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주민은 도시재생의 주체이면서 동시에 그 성과의 수혜자로써 단순 의견제시를 넘어 자체사업을 추진하고 자원봉사를 통해 능동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그 바탕으로 민·관·학이 함께 머리를 맞댈 때 도시재생 성공의 길이 열린다.